유럽환경청 분석…사망자 최대 14만명 추정
![](https://img.wowtv.co.kr/YH/2022-02-03/PAF20220203117601009_P2.jpg)
(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 최근 40년간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에서 극단적 기상이변 탓에 발생한 경제적 손실이 700조원에 달할 수 있다는 유럽환경청(EEA)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AFP통신에 따르면 이날 EEA는 1980년부터 2020년까지 유럽 내 32개국 공식 자료를 비롯해 보험사 등 민간 자료까지 수집한 끝에 이런 분석을 내놨다.
이에 따르면 이 기간 총 경제적 손실액은 최소 4천500억유로(약 612조원)에서 최대 5천200억유로(약 70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경제적 타격이 컸던 기후 재앙은 홍수 등 물과 관련된 것으로, 손실액의 44%를 차지했다.
번개 등 대기와 관련된 손실액이 전체의 39%로 뒤를 이었다. 폭염 등 열과 관련된 손실은 14% 수준이었다.
아울러 EEA는 같은 기간 발생한 사망자수도 집계했다.
이에 따르면 이들 국가에서 9만∼14만2천명이 극단 기후로 인해 사망했으며, 이 가운데 91%가 폭염 탓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2003년에 여름에만 폭염으로 8만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40여년간 기후로 인한 재산 피해액 중 60% 이상이 불과 3%의 재해에서 나온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탓에 이번 연구에서는 수십년 간 기후 위기에 따른 피해 규모가 증가했는지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http://img.yna.co.kr/photo/etc/af/2022/02/03/PAF20220203116801009_P2.jpg)
연구진은 "가장 극단적인 기후 재앙들이 특별히 공유하는 명확한 경향은 없었다"면서 "넓게 보면 여전히 극단 기후는 무작위로 닥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연구에서 (기후 위기로 인한) 피해가 증가했다는 경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고 해서 기후변화가 없었다고 말할 순 없다"면서 "이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조치가 시행된 덕으로, 더 많은 국가가 이런 대응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폭염으로 인한 사망이 2003년 최악을 보인 이후에는 줄었는데, 이는 여러 국가, 기관이 에어컨 보급에 나서는 등 대응 전략을 세웠기 때문이라고 EEA는 분석했다.
그는 "2050년 이전에 탄소중립이 달성된다고 해도, 각국이 기후 위기 여파를 줄이기 위한 대응 전략을 계속 모색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http://img.yna.co.kr/photo/reuters/2022/01/10/PRU20220110286901009_P2.jpg)
pual07@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