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욱 위원장 "디지털 공정경제에 KAIST 역할 기대"

(세종=연합뉴스) 이보배 기자 =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이 21일 공정거래위원회를 찾아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대한민국'을 주제로 강의하며 "메타버스에서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특강은 디지털 시장과 기술에 대한 공정위의 이해를 높이고, 실제 혁신이 작동되는 방식과 혁신의 진화 방향 등을 거시적 시각에서 조망하고자 마련됐다.
지난달 권순우 한국자영업연구원장과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에 이은 세 번째 특강이다.
이 총장은 특강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대전환의 세 가지 키워드로 코로나19 등 감염병의 확산, 인구절벽 등 인구구조의 변화, 메타버스 등 인공지능(AI)의 발달을 제시했다.
이런 변화의 흐름 속에서 글로벌 패러다임이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술 패권의 시대로 전환됐다며, 지리적 위치가 중시되던 '지정학의 시대'에서 벗어나 기술 패권이 중시되는 '기정학(技政學)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AI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과 함께 메타버스에서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은 이 총장의 특강에 앞서 인사말을 통해 "공정위는 디지털 공정경제 구현을 중점 추진 중"이라며 "기울어진 운동장에서는 승자와 패자가 정해져 있어 누구도 꿈꿀 유인이 없고, 공정경제가 실현돼야 경제주체들이 도전하고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정위의 디지털 경제 구현을 위한 노력에 카이스트의 높은 기술적 전문성이 큰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bob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