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YH/2022-03-06/AKR20220306027900083_01_i.jpg)
(베이징=연합뉴스) 김진방 특파원 = 중국이 올해 국방 예산을 2019년 이후 최대 증가폭인 7.1% 증액한 가운데 중국을 둘러싼 불안정한 안보 상황을 고려하면 국방비 증가폭이 적절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군사전문가 쑹중핑(宋忠平)은 6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중국의 대외 위협 증가 등을 고려하면 중국군의 무기와 군사장비의 대규모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면서 "국방비 7.1% 증가는 높은 수치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쑹중핑은 "중국은 현실적인 전투 지향적 훈련을 강화해야 하고, 군인들에게 더 나은 복지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국방비 증가는 필연적"이라고 설명했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역시 전날 개막한 전인대 업무보고에서 "올해는 2027년 인민해방군 창설 100주년을 목표로 군사훈련과 전투태세를 강화하겠다"고 군방력 강화를 강조했다.
베이징에서 활동하는 군사 전문가 웨이둥쑤는 "중국이 현대화된 군사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일부 외부 세력이 지속적으로 군사 자산을 중국 주변에 배치하는 것을 고려하면 국방비 증액은 필수적인 것"이라고 역설했다.
웨이둥쑤는 중국이 앞으로 현대화된 무기와 첨단 장비 등을 확충하는데 국방비를 사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올해 세 번째 항공모함을 진수할 예정이며, 중국 5세대 스텔스 전투기인 젠(殲·J)-20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 공군 전문가 푸첸샤오는 "중국의 국방비는 지난 몇 년간 국내총생산(GDP)의 1.3%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이는 다른 국가들 특히 미국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치"라고 강조했다.
쑹중핑도 "국방비의 세계 평균은 GDP의 2% 수준"이라며 "중국은 국방비를 늘릴 여지가 있지만, 미국, 일본, 독일 등이 국방비를 대폭 증액하는 중에도 군비 경쟁을 벌이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중국의 국방비 증액이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 "이는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일축한 뒤 "중국의 국방예산은 우크라이나 문제가 발생하기 훨씬 전인 몇달 전에 편성이 됐다"고 반박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3/06/AKR20220306027900083_02_i.jpg)
china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