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인력중개센터 155곳으로 확대…외국인 근로자 2만명 지원
![](https://img.wowtv.co.kr/YH/2022-03-13/AKR20220311144300003_01_i.jpg)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다음달 농번기가 시작됨에 따라 인력 수요가 많은 25개 시·군을 중점관리 대상으로 선정해 지원한다고 13일 밝혔다.
사과 등 인력 수요가 많은 상위 6개 품목의 주산지와 지난해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있었던 지역으로 경기 안성, 강원 평창, 충북 음성, 충남 천안, 전북 고창, 전남 나주, 경북 의성 등이다.
이들 시·군에는 농작업에 적합한 인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세부 지원계획을 수립해 운영한다.
농식품부는 근로자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농촌인력중개센터를 지난해 130곳에서 올해 155곳으로 확대하고 12개 시·군에서는 사과, 고추, 마늘, 양파 등의 수확 작업을 위해 체류형 영농작업반으로 570여명을 모집할 계획이다.
체류형 영농작업반은 근로자에게 숙박 시설 등 안정적으로 체류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해 외지 근로자가 일정 기간 머물면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외국인 근로자 약 2만명이 농업 분야의 일손을 돕는다.
구체적으로 보면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E-9)가 8천명 배정됐고, 외국인 계절근로자(C-4·E-8)는 86개 시·군에 1만1천472명이 배정돼 다음달 초부터 순차적으로 입국한다.
이전에는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경우 농가에서 직접 고용하는 방식만 허용됐는데 올해는 지자체가 선정한 농협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한 뒤 단기 근로인력이 필요한 농가에 공급하는 '공공형 계절근로' 시범사업도 처음 추진된다.
올해 전북 무주·임실군, 충남 부여군, 경북 고령군 4개 지자체에서 320명의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해 운영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인력 수급이 가장 취약했던 마늘·양파 수확의 경우 올해도 인력 수급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생산 전 과정에 대한 기계화 사업도 확대할 방침이다.
지난해 경남 창녕·함양, 경북 영천, 전남 무안 등 4개 지자체에 331ha의 마늘·양파 기계화 시범단지를 조성한 데 이어 올해 시범단지 면적을 300ha 추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k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