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코로나19 전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변화 분석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물가 상승에 따른 부담이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에 집중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8∼2019년과 이후인 2020∼2021년의 체감물가 변화를 소득분위별로 살펴본 결과 저소득층일수록 물가 상승을 더 크게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저소득층의 물가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커졌다는 의미다.
체감물가는 해당 연도나 분기 동안의 품목별 지출 비중에 가중치를 적용해 계산한 물가로, 경기변동에 따른 소비패턴의 변화가 적시에 반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경연에 따르면 체감물가 상승률은 1분위 2.7%, 2분위 2.4%, 3분위 2.2%, 4분위 2.1%, 5분위 1.9% 순으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낮았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이 상위 20%인 5분위 체감물가 상승률의 1.4배에 달한 것이다.
한경연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물가 상승을 크게 체감하는 것은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의 물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소득 1분위는 주로 식료품·비주류음료(지출비중 22.4%), 주거·수도·광열(19.6%), 보건(13.3%) 등 생필품 및 건강과 관련된 지출 비중이 높았다.
반면 5분위는 교통(14.3%), 음식·숙박(13.3%), 식료품·비주류음료(13.3%)를 비롯한 교통, 외식 등의 지출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런 상황에서 1분위의 지출 비중이 5분위보다 더 높은 상위 3개 품목(주거·수도·광열, 식료품, 보건)의 물가는 평균 3.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5분위의 지출 비중이 1분위보다 더 높은 상위 3개 품목(교육, 교통, 음식·숙박)의 물가는 평균 0.7% 상승하는 데 그쳤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에 따른 물가 상승의 충격이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집중되는 상황"이라며 "저소득층에 대한 일자리 기회 제공을 확대해 소득을 늘리는 한편 농산물 수급 안정과 식료품 유통구조 효율화를 통해 가격 상승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