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미얀마 군부, 로힝야족 말살 의도"…집단학살로 규정

입력 2022-03-21 23:54  

美 "미얀마 군부, 로힝야족 말살 의도"…집단학살로 규정
"인종청소 수준 넘어서"…탄압 주범인 쿠데타 세력 맹비난
집단학살 관련자 추가 제재 가능성·ICC 조사 탄력받을 듯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21일(현지시간)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미얀마 군부가 과거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에 자행한 폭력이 집단학살(genocide)과 인륜범죄에 해당한다고 공식 결론 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이날 워싱턴DC 홀로코스트 박물관의 미얀마 집단학살 관련 전시물을 둘러본 뒤 한 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로힝야족을 향한 공격은 광범위하고 체계적이었다면서 증거들은 인종 청소를 넘어 로힝야족을 실질적으로 말살하려는 분명한 의도를 가리키고 있다며 구체적인 탄압 사례까지 열거했다.
지난 2017년 미얀마 라카인주에서는 무슬림계 소수 로힝야족 일부가 종교 탄압 등에 반발해 경찰 초소를 습격하자 정부군이 대대적인 토벌 작전에 나섰다.
이로 인해 적어도 73만 명의 로힝야족이 집을 떠나 방글라데시로 피난을 가야 했는데, 이 과정에서 살인, 강간, 방화 등 큰 고통을 겪었다.
미얀마 군부가 2016년 가한 억압까지 포함하면 미얀마를 떠난 로힝야족이 100만 명에 가깝다는 게 블링컨 장관의 설명이다.
AFP통신은 현재 약 85만 명의 로힝야족이 방글라데시 난민 캠프에 있고, 60만 명가량은 미얀마 라카인주에 머무는 상태라고 전했다.
유엔 진상조사단은 2018년 이 군사 행동에는 집단학살에 해당하는 행위가 포함됐다고 결론 냈지만,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2018년과 2020년 두 차례 검토에도 불구하고 결론을 내지 못했다.
로힝야족 학살 당시 주범으로 지목된 미얀마 군 인사는 작년 2월 쿠데타를 통해 최고 권력자에 오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다.
작년 쿠데타 세력은 현재 미국의 각종 제재를 받는 상황으로, 이번 집단학살 결론에 따라 추가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블링컨 장관은 "미얀마 군부는 쿠데타 이후에도 (로힝야족에 한 것과) 똑같은 전술을 사용하는 것을 봤다"며 "이들이 이제는 억압적 통치에 반대하는 모든 이를 겨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 이후 1천670여 명의 성인과 어린이를 살해했다면서 1만2천 명 이상이 부당하게 억류돼 고문과 성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로힝야족 학살 사건은 국제사법재판소(ICJ)에서 재판이 진행 중이고, 집단학살이나 전쟁범죄, 반인도적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설치된 국제형사재판소(ICC)도 로힝야족 추방에 관한 조사를 하고 있다.
미 국무부가 지금까지 집단학살로 규정한 사건은 보스니아, 르완다, 이라크, 수단 다르푸르, 이슬람국가(IS)의 학살이었다. 근래에는 중국의 신장 위구르족 탄압을 6번째 집단학살로 규정해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