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보는 TV에서 즐기는 TV로…스크린 개념 바뀐다"

입력 2022-03-30 23:00  

삼성전자 "보는 TV에서 즐기는 TV로…스크린 개념 바뀐다"
한종희 부회장, '언박스' 행사서 사용자 경험 중심 사업 비전 제시
'자동 편의 기술'로 사용자가 신경 쓸 필요 없는 편안한 서비스 구현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이제 '보는(Watch) TV'에서 '즐기는(Do) TV'로 스크린 역할이 바뀔 것입니다."
삼성전자[005930]가 30일(미국 현지시간) 온라인으로 진행한 '언박스 앤 디스커버'(Unbox & Discover) 행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사용자 경험 중심의 사업 비전과 2022년 TV 신제품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DX부문장 한종희 부회장은 오프닝 연설에서 "삼성전자가 추구하는 혁신은 항상 고객 경험으로부터 출발했다"면서 "올해 신제품은 단순히 최고의 기술을 개발해 적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하는데 목표를 뒀다"고 소개했다.
한 부회장은 그러면서 "사용자가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을 배우지 않아도 알아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아도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며 '캄 테크'(Calm Technology·자동 편의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자동 편의 기술은 이용자가 조작하거나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인공지능, 컴퓨터 등의 첨단기술과 장비를 활용해 세세한 편의를 제공하는 기술을 일컫는 말이다.
예컨대 집안의 공기 질을 감지해 로봇청소기와 공기청정기를 자동으로 가동해 청정 환경을 만들어주거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절전모드로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서비스 등을 뜻한다.
삼성전자는 이를 위해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술 '스마트싱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고 문제를 점검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팀삼성'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한 부회장은 TV와 같은 스크린에 대해서도 "이제 보는 제품에서 즐기는 제품으로 개념이 바뀔 것"이라며 "게임 콘솔, 가상의 놀이공간, 업무효율을 높여주는 파트너, 가정 내 기기들을 제어해주는 허브 등으로 진화해 새로운 사용자 경험 시대의 청사진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부회장은 "이는 모든 공간과 사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영상디스플레이 사업 비전인 '스크린 에브리웨어·스크린 포 올'(Screens Everywhere·Screens for All)을 실현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네오(Neo) QLED 8K'를 중심으로 사운드바 등 신제품을 소개했다.
네오 QLED 8K 신제품에는 한층 더 진화된 화질을 구현하는 삼성의 독자 기술 '네오 퀀텀 프로세서'가 적용되는 등 삼성 TV의 혁신기술이 집대성됐다.
삼성전자는 2022년형 스마트 TV에 미디어·매직스크린·게이밍 허브·삼성헬스 등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탑재한 '삼성 스마트 허브'도 선보여 '즐기는 TV'로서의 역할을 강화했다.
fusionj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