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동기보다 6%포인트 올라…한국 상승률 38개국 중 32번째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 혼란에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까지 더해져 전 세계 물가가 급등하는 가운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물가 상승률이 31년여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17일 OECD 최신 통계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7%로 걸프전 직전인 1990년 12월 이후 31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990년에는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국제유가가 몇 달 만에 2배 이상으로 뛰었다.
2월 상승률은 전월(7.2%)보다 0.5%포인트 높아졌고, 전년 동기(1.7%)보다 6%포인트나 뛰어올랐다.
대다수 회원국에서 에너지 가격 급등이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또 식품 물가 상승세도 현저했다고 OECD는 설명했다.
OECD 회원국의 에너지 가격은 26.6%, 식품 가격은 8.6% 각각 올랐다.
폴란드를 제외하고 37개 OECD 회원국의 물가 상승세가 전월보다 가팔라졌다.
혹독한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터키는 물가 상승률이 54.5%로 OECD에서 가장 높았다. 1개월 만에 5.7%포인트 급등하며 50%를 돌파했다.
물가 상승률 두 자릿수 대열에는 리투아니아(14.2%), 에스토니아(12.0%)에 더해 체코(11.1%)도 새로 합류했다.
주요 20개국(G20)과 주요 7개국(G7)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6.8%와 6.3%로 나타났다.
G7에서는 인플레이션이 40년 만에 최고치에 달한 미국(7.9%)을 필두로 이탈리아, 영국, 캐나다, 독일 등이 5%를 넘겼다. 각국 중앙은행들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 2%를 훌쩍 웃돌았다.
다만 수십 년간 물가가 정체된 일본은 예외적으로 0.9% 상승에 그쳤다.
한국은 2월 물가 상승률이 3.7%로 OECD 38개국 가운데 32번째로 높았다.
전쟁으로 에너지와 식품 가격이 더욱 치솟은 가운데 한국, 미국, 영국 등 이미 3월 통계를 발표한 일부 국가가 큰 폭의 물가 상승세를 이어갔기 때문에 OECD 3월 인플레이션도 2월보다 더 높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각국은 수십 년 만에 맞은 고물가의 고삐를 잡기 위해 앞다퉈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다. 캐나다, 뉴질랜드가 최근 나란히 20여 년 만에 처음으로 0.5%포인트의 대폭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미국도 5월에 비슷한 조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표> OECD 회원국 2월 소비자물가 연간 상승률
(단위: %)
┌────────────┬────────────┬───────────┐
│순위│국가│물가상승률│
├────────────┼────────────┼───────────┤
│ 1│터키│ 54.4│
├────────────┼────────────┼───────────┤
│ 2│리투아니아 │ 14.2│
├────────────┼────────────┼───────────┤
│ 3│에스토니아 │ 11.3│
├────────────┼────────────┼───────────┤
│ 4│체코│ 11.1│
├────────────┼────────────┼───────────┤
│ 5│슬로바키아 │ 9.0│
├────────────┼────────────┼───────────┤
│ 6│라트비아│ 8.7│
├────────────┼────────────┼───────────┤
│ 7│폴란드 │ 8.5│
├────────────┼────────────┼───────────┤
│ 8│헝가리 │ 8.3│
├────────────┼────────────┼───────────┤
│ 9│콜롬비아│ 8.0│
├────────────┼────────────┼───────────┤
│ 10│벨기에 │ 8.0│
├────────────┼────────────┼───────────┤
│ 32│한국│ 3.7│
└────────────┴────────────┴───────────┘
(자료: OECD)
y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