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0.5%p↓·물가 0.9%p↑…우크라이나 사태 영향 반영
기재부 "성장률 조정, 주요국 대비 제한적…물가, 유류세 인하로 주요국보다 낮아"
세계 경제성장률 0.8%p 내린 3.6%…"하방 리스크 확대 가능성"
(세종·워싱턴=연합뉴스) 이보배 곽민서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 등을 반영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 전망치를 큰 폭으로 낮추면서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에서 2%대 중반으로 내렸다.
유가 상승 등으로 올해 한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4.0%로 대폭 올렸다.
◇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0.5%p 낮춰…물가는 0.9%p 올려
IMF는 19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제시했다.
이는 1월 수정 보고서 및 지난달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밝힌 3.0%보다 0.5%포인트(p) 내린 수치다.
한국의 하향 조정폭은 독일(-1.7%포인트), 이탈리아(-1.5%포인트), 영국(-1.0%포인트), 일본(-0.9%포인트), 프랑스(-0.6%포인트) 등 주요 선진국 대비 상대적으로 소폭이다. 미국(-0.3%포인트), 캐나다(-0.2%포인트)보다는 조정폭이 크다.
기획재정부는 "전쟁 영향이라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조정폭은) 주요 선진국 대비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IMF 미션단의 기고문을 빌려 "전쟁 이후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되는 와중에도 한국은 상대적으로 회복력을 보인다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IMF의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주요 기관과 비교하면 정부(3.1%), 한국은행(3.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3.0%), 투자은행(IB) 평균(3.0%), 피치(2.7%), 무디스(2.7%)보다 낮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2.5%)와 같다.
IMF는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월 수정 전망 때와 같은 2.9%를 제시했다.
코로나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를 제거한 2020∼2022년 3년간 평균 성장률은 1.85%로 주요 7개국(G7)과 비교할 때 미국(1.92%)에 이어 2위로 나타났다.
2020∼2023년 4년간 평균 성장률(2.11%)은 미국(2.02%), 캐나다(1.42%) 등 G7 국가들의 성장률을 웃돌았다.
지난해 주요국 중 가장 먼저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한국은 올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내년에는 회복 속도가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됐다.
IMF는 올해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0%로 봤다. 지난달 연례협의 당시(3.1%)보다 0.9%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연간 기준으로 4%대를 기록한 것은 2011년(4.0%)이 가장 최근이다.
한국의 전망치는 미국(7.7%), 영국(7.4%), 캐나다(5.6%), 독일(5.5%), 프랑스(4.1%)보다는 낮고, 일본(1.0%)보다는 높다.
기재부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가 상승 등의 영향이 정부의 유류세 인하 등의 노력으로 일부 상쇄됐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IMF는 지난달 상황을 기준으로 이번 보고서를 작성해 지난달 초 발표된 '유류세 20% 인하 3개월 연장' 조치는 반영됐지만, 이달 초 발표된 '유류세 인하폭 30%로 확대' 조치는 반영되지 않았다.
◇ 전쟁 영향에 세계 경제 전망 0.8%p↓…"하방 리스크 확대 가능성"
IMF의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6%로 1월 수정 전망치 대비 0.8%포인트 낮아졌다.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된 데다가 긴축적 통화·재정정책, 중국의 성장 둔화, 코로나 영향 등이 원인이 됐다.
IMF는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2%포인트 낮은 3.6%로 제시하면서 "내년 성장률은 소폭 상승하겠으나 올해 하락을 상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3.3%로 기존보다 0.6%포인트 낮췄고, 신흥국은 1.0%포인트 낮춘 3.8%로 전망했다.
선진국과 신흥국의 올해 물가 상승률은 각각 5.7%(1.8%포인트 상향), 8.7%(2.8%포인트 상향)로 전망했다.
IMF는 세계 경제에 하방 리스크가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전쟁 악화로 인한 공급망 훼손, 물가상승 등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채무 불이행에 따른 대차대조표 위험 등 간접효과도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장기적으로는 보호주의, 기술교류 제한 등으로 세계경제통합 및 국제질서가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IMF의 분석이다.
유가·식품 가격 폭등 및 난민에 따른 사회적 불안, 코로나 재확산 및 변이 가능성, 중국 성장둔화 장기화, 금리 인상 및 부채부담 증가 등도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IMF는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훼손,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긴축적 통화정책 등으로 2021년 대비 2023년 세계 경제 성장이 추가로 2.0% 더 떨어질 수 있다는 부정적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그러면서 "전쟁으로 통화·재정 등 정책 목표의 상충성이 확대돼 정책당국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국가별 상황에 맞는 유연한 재정·통화 정책 추진을 강조했다.
우선 재정 여력의 확보를 위해 확대된 재정지원을 축소하되, 전쟁 및 코로나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지원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세원 확대, 반복적 지출 및 광범위한 보조금 축소 등 중기 재정건전성 확보도 강조했다.
기대인플레이션 관리, 선진국 통화 긴축에 대응하기 위한 신흥국의 금리 인상 확대 고려, 기업 파산·회생 지원 강화, 외채 만기 연장, 환율 유연성 확보, 신흥국 자본유출 시 예외적 외환시장개입 고려 등도 권고했다.
bob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