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YH/2022-04-21/AKR20220421035900009_01_i.jpg)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만성질환의 1차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는 폐경 후 여성 호르몬을 투여하는 호르몬 대체요법(HRT: hormone replacement therapy)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미국 질병예방특별위원회(USPSTF: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가 밝혔다.
USPSTF는 국제 RTI(Research Triangle Institute international) 연구소의 제럴드 가트레너 박사 연구팀이 폐경 후 호르몬 요법과 관련한 20건의 임상시험과 대규모 코호트(동일집단) 연구 논문 3편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에 근거해 이 같은 권고안 초안을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0일 보도했다.
종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에스트로겐을 단독으로 사용한 여성은 사용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당뇨병, 골절 위험이 통계학상 유의미하게 줄어든 반면 뇌졸중, 담낭 질환, 정맥혈전 색전증(venous thromboembolism) 위험이 통계학상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 에스트로겐에 프로게스틴을 함께 사용한 여성은 대장암, 당뇨병, 골절 위험은 유의미하게 낮아졌지만, 침윤성 유방암(invasive breast cancer), 치매, 담낭 질환, 뇌졸중, 정맥혈전 색전증 위험이 커졌다.
이 결과를 근거로 USPSTF는 폐경 후 나타날 수 있는 만성 질환의 1차적 예방 목적으로의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병행 요법'을 사용하지 말도록 권고했다. (권고등급 D)
이와 함께 자궁적출 수술을 받은 폐경 여성은 폐경 후 나타날 수 있는 만성질환의 1차적 예방 목적으로의 에스트로겐 단독 사용을 하지 말도록 권고했다. (권고등급 D)
이는 권고 초안(draft)으로 온라인에 게시되며 오는 5월 16일까지 공청회를 거칠 예정이다.
USPSTF 권고 지침에는 A·B·C·D 4등급이 있다.
A등급: 효과가 상당한 것이 틀림없다.
B등급: 효과가 어느 정도 있음이 확실하다.
C등급: 징후나 증상이 없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아주 적으며, 따라서 개개인의 형편에 따라야 한다.
D등급: 효과가 없거나 득보다는 실이 커 권장하지 않는다.
USPSTF는 독립 기관이지만 미국 보건복지부가 선정한 의사와 과학자들로 구성되고 정부로부터 연구비를 전액 지원받고 있다. 특위가 발표하는 지침은 구속력은 없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