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가 자녀 갖지 않는 것에 동의' 비율, 2015년 29.1%→2020년 52.4%
"비혼 확산과 결혼 후 출산하지 않은 커플 증가…저출생 심화"
![](https://img.wowtv.co.kr/YH/2022-05-09/PCM20220106000097990_P2.jpg)
(서울=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결혼해서 애 안 낳아도 된다. 자녀에게 투자할 시간에 부부의 여유를 찾는 삶도 가치 있어 보인다."(이모씨·27)
"지금은 애 낳을 생각이 없다. 사회가 요구하는 아이 양육 비용은 커지는데 임금은 그만큼 안 오르는 것 같다."(이모씨·29)
우리나라 저출생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결혼해서 애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20대가 5년 새 크게 늘어 절반 이상에 달했다.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는 '나라경제 5월호'에서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 분석 및 연구' 등을 인용해 '우리 시대 가족'의 모습을 전했다.
이에 따르면 결혼하고 아이를 갖지 않는 것에 동의하는 20대 비율이 2015년 29.1%에서 2020년 52.4%로 23.3%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전 세대에서 동의 비율이 21.3%에서 28.3%로 7.0%포인트 증가한 것보다 더 큰 폭으로 늘었다.
이는 결혼 및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결혼 후 출산이 필수가 아닌 선택의 문제라는 인식의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양육에 대한 경제적 어려움도 배경으로 꼽힌다.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2/05/09/GYH2022050900020004400_P2.jpg)
![](http://img.yna.co.kr/photo/cms/2017/11/21/01/C0A8CA3D0000015FDC4249390031ABFF_P2.jpeg)
미국의 투자은행인 제퍼리스 금융그룹(JEF)이 베이징의 유와인구연구소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아이를 낳아 18세까지 기르는 데 드는 비용의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로 꼽혔다.
한국에서 자녀를 18세까지 기르는 데 드는 비용은 2013년 기준 1인당 GDP의 7.79배였다.
김영정 서울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결혼 및 가족 형성에 대한 가치관도 많이 바뀌었다"며 "현실적으로 아이 돌봄이 어려운 점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향후 저출생 현상이 더 심화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전년 대비 0.03명 감소한 0.81명으로 5년 연속 최저치를 새로 썼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돌고 있다.
혼인 건수도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전년 대비 9.8% 감소한 19만3천건으로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후 3년 연속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 분석 및 연구'에 따르면 비혼 독신에 동의하는 20대 비율은 2015년 37.0%에서 2020년 52.9%로 증가했다.
최선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비혼의 급격한 확산과 결혼해도 출산하지 않는 커플의 증가는 저출산 추세가 더 심화할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2/02/23/GYH2022022300150004400_P2.jpg)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