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터키제 맹활약 속 미국제 자폭드론도 기대
"러, 뒤처지는 형국…공급지체·소모전 탓 결정적 역할은 못해"
![](https://img.wowtv.co.kr/YH/2022-05-16/PRU20220507216401009_P2.jpg)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장기화하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무인기)의 역할이 다시 주목을 받는다.
1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드론이 전쟁 승패를 가를 '게임체인저'가 못 되더라도 정찰과 선전에 유용하다고 분석했다.
전황을 살펴보면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보다 그런 면에서 드론을 더 효과적으로 썼다.
우크라이나는 적군 동태를 파악하거나 기습 성공 장면을 촬영해 적군의 패퇴를 홍보하는 데 적극 활용했다.
최근 터키제 '바이락타르 TB2' 드론을 앞세운 우크라이나의 선전 홍보물을 보면 쓰임새가 잘 드러난다.
전략 요충지인 흑해 즈미니(뱀) 섬에 주둔한 러시아 포대 폭격, 근처 러시아 상륙정 궤멸, 러시아 병사들이 내리는 Mi-8 헬기 격추 등이 전세계에 배포됐다.
이 같은 장면이 개개 전투에 불과해 전쟁 상황 전체를 대변할 수는 없지만 우크라이나의 선전을 강조하는 데에는 효율적인 것으로 관측된다.
가디언은 "드론이 작전에서 효과적이고 선전을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군사적으로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는 점은 확실하다"고 지적했다.
드론이 게임체인저가 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대규모 투입이 뒷받침돼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게 그 이유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양측이 모두 제공권을 장악하지 못해 많은 드론이 격추되는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우크라이나가 전쟁 초기에 투입한 TB2 드론은 한동안 자취를 감췄다가 다시 등장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5/16/AKR20220516077000009_03_i.jpg)
전문가들은 TB2 드론 20여대가 모두 격추된 데다가 터키가 러시아의 심기가 불편해질 것을 우려해 추가 판매를 꺼렸기 때문으로 본다.
이들 드론은 대당 가격이 100만∼200만 달러(약 13억∼26억원) 정도로 전해진다.
그러다가 최근 다시 나타나 흑해 포대나 상륙정을 공격한 터키제 드론은 신형 T253으로 우크라이나가 재차 공급받은 것들로 관측된다.
우크라이나는 미국에서도 덜 정교하기는 하지만 정찰·자폭 가능이 있는 드론인 '스위치블레이드' 시리즈를 최소 700대 지원받기로 했다.
그밖에 우크라이나는 중국의 드론업체 DJI가 제작한 정찰 드론 6천대도 돌리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같은 드론 전력은 전체적 전황을 뒤집을 규모가 아니지만 러시아보다는 앞섰다는 평가다.
러시아는 TB2에 상응하는 자국산 '오리온' 드론을 투입했으나 규모가 수십대 정도로 많지 않았고 격추 때 공급도 원활하지 않을 것으로 관측됐다.
더글러스 배리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연구원은 "러시아가 1990년부터 이 분야에 과소투자를 한 까닭에 뒤처지는 형국"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격추된 '오를란 10' 정찰 드론에서는 접착제로 붙여넣은 캐논 DSLR 카메라가 발견되는 등 공급이 심각하게 지체되는 정황을 노출했다.
전문가들은 결국 장기 소모전에서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드론의 역할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본다.
영국 포츠머스대의 드론 전문가인 피터 리 교수는 "쌍방이 제공권을 갖지 못한 상황에서 드론의 중요한 용처는 100년 전 비행기가 그랬던 것처럼 정보 수집, 상황 파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5/16/AKR20220516077000009_04_i.jpg)
jangj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