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보고서
(서울=연합뉴스) 김유아 기자 = 한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불황 속 물가상승)에 빠질 가능성은 크지 않고, 경기 부양보다는 물가 안정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장민 선임 연구위원은 5일 '우리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 진입 가능성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장 연구위원은 "앞으로 우리 경제에 경기 침체와 높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4%가 넘는 높은 인플레이션은 내년까지만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극심했던 1970년대와 달리 현재의 중앙은행이 물가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통화정책을 펴고 있다는 점을 전망의 근거로 제시했다.
또 현재의 유가 상승 폭이 단기간에 4배씩 올랐던 과거 석유파동기에 미치지 못하고, 원유 가격이 실질가격 기준으로 1980년이나 2008년의 3분의 2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물가 충격의 정도가 과거보다 크지 않다고도 덧붙였다.
물가를 잡기 위해 정책당국이 강력한 통화 긴축정책을 사용하겠지만, 이에 따른 경기 둔화는 인플레이션과 시차를 두고 나타날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이 5%를 상회한 경우 긴축정책이 시행됐고 이후 4분기 이내 경기침체가 발생한 경우는 45%, 8분기 이내 경기 침체가 발생한 경우는 62%였다.
장 연구위원은 "현재 잠재수준을 웃도는 성장세를 보이는 실물 경제는 점차 둔화할 가능성이 높다"며 "경기 불황은 내년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정책당국이 경기 둔화 가능성을 우려해 인플레이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과거 1970년대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을 초래할 위험을 증대시키게 된다"면서 "경기와 물가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으려 하기보다는 먼저 빠르게 진행되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섣부른 경기부양책은 정책당국의 물가안정 의지를 희석해 인플레이션 지속 위험을 증대시킬 수 있고 경기 둔화 때 대응 능력을 약화할 수 있다"며 "구조개혁, 정책당국 간 긴밀한 협조 등을 바탕으로 경기 불황에 대한 비상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ku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