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해양수산부는 민주노총 화물연대의 총파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항만별로 비상수송대책반과 비상수송위원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https://img.wowtv.co.kr/YH/2022-06-07/PYH2022060715480005100_P2.jpg)
해수부는 국토교통부의 위기경보 단계가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조정된 전날부터 본부 비상수송대책반을 비상대책본부로 격상하고, 항만별 지방 비상수송대책본부에는 외부기관과 함께 합동 근무 반을 신설했다.
또 이날 조승환 해수부 장관이 주재하는 항만별 비상수송대책 점검 회의도 열었다.
해수부는 항만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비상수송대책도 수립해 이행한다.
먼저 관용 컨테이너 운송 화물차 총 127대를 주요 항만에 투입하고,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필요 시 부두 내 이송 장비인 야드 트랙터가 부두 밖으로 임시 운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자가용 8t(톤) 이상의 카고트럭과 견인형 특수차에 대해서는 운송거부 종료 시까지 유상운송을 임시 허용하고, 긴급 수출입 컨테이너는 화물열차를 증편 운행한다.
아울러 11만2천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분의 물량을 장치할 수 있는 임시장치장 32개소를 전국에 확보하고, 견인형 특수차와 자가용 유상운송허가 차량에 대해 고속도로 통행료를 면제한다.
해운업계는 화물연대 총파업 첫날인 이날 현재까지는 선박 입출항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파업 본격화 시 트럭킹 등 항만 내 박스 반·출입이 다소 지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