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폭동 책임론에 정치권 소환된 트럼프…"위대한 운동" 반발

입력 2022-06-11 02:24  

1·6 폭동 책임론에 정치권 소환된 트럼프…"위대한 운동" 반발
민주당 주도 美하원특위, 연이은 청문회서 트럼프 정조준
공화당선 중상모략 비난…트럼프 행보·중간선거 영향 주목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다시 한번 등장했다.
미 역사상 암흑의 날로 기록된 작년 1월 6일 연방 의사당 폭동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하원 특별조사위원회가 지난 9일(현지시간) 첫 공개 청문회를 시작하면서 트럼프의 선동 책임론이 전면에 부상한 것이다.
1·6 폭동은 2020년 11월 대선 패배 결과에 불복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조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 인증을 위한 상·하원 합동회의를 진행하던 연방의회 의사당으로 난입해 난동을 부린 사건을 말한다.
11개월간 사전 조사 활동을 거친 특위는 전날 황금시간대에 연 2시간의 첫 공개 청문회를 통해 앞으로 대선 부정 주장의 허구성과 폭동 유발 책임론에 초점을 맞출 것임을 예고했다.
조사위는 앞으로 최소 7번의 청문회를 통해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대대적인 공세를 예고한 상황이다.
13일 예정된 2번째 청문회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부정 주장이 근거가 없다는 점을 알리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한때 충복으로 통하던 윌리엄 바 전 법무장관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참모 중에서도 부정선거 주장을 반박하는 증언이 확보돼 있다.
15일 3차 청문회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법무부에 대선 부정 조사를 지시하는 등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 인증을 막기 위해 노력한 과정이 다뤄진다.
16일 4차 청문회 때는 당선 인증을 위한 상·하원 합동회의를 주재한 마이크 펜스 당시 부통령에 대해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가한 압력이 주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당시 비협조적이던 펜스 전 부통령을 향해 폭도들이 '교수형에 처하라'고 외치자 "지지자들이 올바른 생각을 하는 것 같다. 펜스는 그렇게 대우받을 만하다"고 불신을 표시했다는 사실이 전날 청문회에서 알려지기도 했다.
이후 6차, 7차 청문회에서는 당선 인증 작업이 진행되던 1월 6일 당일 트럼프 전 대통령이 폭도들에게 의회로 행진하도록 독려해 폭동을 선동했다는 책임론에 초점이 맞춰진다.
특위는 오는 9월 최종 보고서 발표를 끝으로 활동을 종료한다.

이번 청문회는 2024년 대선 재출마 의사를 숨기지 않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치 행보는 물론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유권자 표심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선을 끈다.
특위위원 중 2명을 제외하면 모두 민주당 소속인 점에서 보듯 특위의 향후 활동은 '트럼프 흠집 내기'에 맞춰질 전망이다.
재임 중 두 차례 탄핵에 실패한 민주당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치적 탄핵'을 시도하는 것이라는 평가까지 나올 정도다.
이를 의식한 듯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날 성명에서 1·6 폭동에 대해 "단순한 시위가 아니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한 가장 위대한 운동을 대표한다"고 옹호했다.
또 "(특위는) 가짜뉴스 매체의 보도보다 훨씬 많은 대규모의 국민들이 왜 워싱턴 DC로 갔는지 그 이유를 조사하는 데는 1분도 안 썼다"면서 특위의 신뢰성 허물기를 시도했다.
공화당에서도 특위의 활동이 당파적이고 정당성이 없다는 주장이 나온다.
엘리스 스터파닉 공화당 하원 의원은 이번 청문회는 인플레이션과 범죄 등 다른 문제에서 유권자의 관심을 분산시키려는 것이라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향한 중상모략이라고 주장했다.
특위의 공개 활동이 본격화할수록 대선 불복과 폭동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행적과 책임론을 둘러싸고 진상 규명 못지 않게 정치적 공방도 불붙을 것임을 예고한 대목으로 여겨진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