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30대 그룹 공급망 ESG 관리 현황 조사
![](https://img.wowtv.co.kr/YH/2022-06-14/PCM20220511000043002_P2.jpg)
(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 = 우리나라 대기업 4곳 가운데 3곳은 협력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관리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자산기준 30대 그룹 소속 기업 가운데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는 75개사를 대상으로 '30대 그룹 공급망 ESG 관리 현황'을 조사해 그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6/14/AKR20220614068000003_01_i.jpg)
조사 결과 75개사 가운데 57개사(76%)가 협력사의 ESG 경영을 관리 중이었다.
이들은 협력사 ESG 평가, ESG 컨설팅 및 교육, 행동규범 제정, 환경·안전 관리 직접 지원 등 크게 4가지 차원에서 공급망의 지속가능성 역량 제고를 지원하고 있었다.
이들 회사의 유형별 지원 현황(중복 가능)을 보면 협력회사 ESG 평가 47곳(62.7%), ESG 컨설팅 및 교육 45개사(60.0%), 행동규범 제정 44개사(58.7%), 환경·안전 관리 직접 지원 30개사(40.0%) 등이었다.
75개사 가운데 47개사(62.7%)는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정기 평가도 시행 중이었다. 이 가운데 31개사는 신규 등록을 희망하는 예비 협력사에 대해서도 사전 ESG 평가를 하고 있었다. 협력사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해 ESG 리스크를 파악한 뒤 위험 요소가 발견되면 시정 조치를 요구하는 것이다.
ESG 평가는 대체로 협력사 행동규범을 기준으로 실시하고 있었고, 이 평가는 대부분 협력회사의 온라인·서면 자가 진단, 평가업체의 현장 점검 및 실사, 위험도 식별, 우수업체 인센티브 부여 및 고위험군 개선 조치 및 제재 절차를 통해 진행된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협력사 ESG 평가 통계를 공개한 18개사가 2020년 ESG 평가를 시행한 협력업체 수는 1만3천975곳에 달했다. 이 중 개선 요청을 받고서 시정 조치를 완료한 협력사는 1천197곳이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6/14/AKR20220614068000003_02_i.jpg)
조사대상 기업 중 45개사는 협력업체의 ESG 경영 역량을 제고하는 컨설팅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었다.
30개사는 ESG 관련 직접적인 지원을 통해 협력사의 지속가능성 관리를 도왔다. 효성중공업[298040]은 근로자 전용 휴식공간을 지원했고, LS일렉트릭은 오염물질 처리 기술을 지원했다.
협력사의 올바른 행동 기준을 정의한 '협력사 행동규범'을 제정하고 협력회사가 이를 준수하도록 하는 대기업은 44곳이었다.
협력사가 행동규범을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삼성전자[00593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SK텔레콤[017670], ㈜SK 등은 계약서에 협력회사 행동규범 준수 의무를 명시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6/14/AKR20220614068000003_03_i.jpg)
이상윤 전경련 커뮤니케이션본부장은 "ESG는 아직 중소기업에 생소한 개념이지만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며 "중소기업은 ESG 행동규범을 비즈니스에 적용하고 원청 기업의 다양한 ESG 지원 프로그램과 정부의 ESG 지원 사업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min2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