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베를린자유대 김대중 연례특강에서 'DJ가 준 교훈' 제시
(베를린=연합뉴스) 이율 특파원 = 유종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장은 15일(현지시간) "세계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을 향해 가면서 금리가 상승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많은 빈국에 부채위기가 곧 닥칠 것으로 보이는데, 희생자를 벌하면 안 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g.wowtv.co.kr/YH/2022-06-17/AKR20220617001800082_01_i.jpg)
그는 이날 독일 베를린자유대 한국학연구소가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개최한 '2022년 김대중 연례특강'의 연사로 초청돼 이같이 말했다.
유 원장은 경제 현안 처리에 있어 김대중 전 대통령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오늘날에도 유효한 교훈으로 가장 먼저 희생자를 벌하면 안 된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많은 개발도상국의 연체이자 부담이 심각한 상황"이라면서 "다가오는 부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제금융기구와 부국 정부가 개발도상국과 협상을 준비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시민들의 삶과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보호하되 질서있는 채무조정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원장은 김대중 전 대통령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두번째 교훈으로 신자유주의적 정책 도입으로 부가 부유층에서 서민들에게 확산한다는 '트리클다운' 이론은 실패했다는 점을 꼽았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6/17/AKR20220617001800082_03_i.jpg)
그는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추진한 여러 국가에서 불평등이 확대되고 빈부격차가 심화했다면서, 극단적 불평등은 세계적 재앙이자, 경제성장세를 저하하는 요인이고, 정치적 안정에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세번째 교훈으로 햇볕정책을 꼽으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통해 북한은 적에서 동반자가 됐다"면서 "남북관계 악화와 지속되는 북핵위기는 햇볕정책의 결과가 아니라 햇볕정책의 중단과 뒤집기에 따른 결과"라고 지적했다.
유 원장은 "2차 냉전 내지 3차 세계대전 가능성에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김대중 전 대통령의 민주화에 대한 신념과 희생, 완전한 실현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경제민주화를 위한 그의 바람, 갈등과 대립을 평화와 협력으로 바꾼 햇볕정책에서 영감을 얻는 것은 아주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0년 베를린자유대에서 베를린 선언을 발표했고, 2007년에는 베를린자유대가 제정한 자유상의 첫 수상자로 선정돼 연설한 바 있다. 베를린 자유대는 2018년부터 6.15선언을 기념해 김대중 연례특강을 정례화했다. 지금까지 연사로는 한명숙 전 총리, 하르트무트 코시크 전 독일 연방하원 의원, 문정인 세종연구소 이사장 등이 나선 바 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6/17/AKR20220617001800082_05_i.jpg)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