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YH/2022-06-19/PEP20220428005101009_P2.jpg)
(파리=연합뉴스) 추왕훈 특파원 = 서방의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한 보복으로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대폭 줄임에 따라 유럽에서 가스 배급제가 실시될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8일 보도했다.
러시아는 최근 잇단 공급 감축 조치를 통해 노르트스트림 가스관을 통해 독일에 수송되는 가스 물량을 60%나 줄였다. 이는 독일을 거쳐 러시아산 가스를 공급받는 프랑스, 오스트리아, 체코 등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럽 최대의 러시아산 가스 구매자인 독일의 유니퍼는 주문한 가스의 60% 이하를 공급받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에니는 17일 러시아 국영 가스업체 가스프롬에서 요구량의 절반을 받는 데 그쳤다. 프랑스의 엔지, 오스트리아의 OMV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로베르트 하벡 독일 경제장관은 최근 ARD TV 인터뷰에서 "심각하고 긴박한 상황"이라면서 "이것은 서방과 러시아 간 힘겨루기"라고 지적했다.
![](http://img.yna.co.kr/photo/reuters/2022/06/13/PRU20220613241001009_P2.jpg)
독일은 주택 임대인이 겨울에 난방을 줄일 수 있도록 허용하고 기업들이 소비권을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가스 수요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 중이다.
가스 공급의 3분의 1 이상을 러시아에 의존하는 독일은 연대 의식을 발휘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것을 국민에게 촉구하고 있다.
독일 규제기관인 BNetzA는 정부가 전국적인 가스 비상사태를 선포하면 배급제를 시행하게 된다. 이 경우 레저 시설의 가스 사용에 제한이 가해지고 기업들에 대한 가스 공급에도 차질이 빚어지겠지만 일반 소비자와 병원 등 필수 공공 서비스는 최대한 보호를 받는다.
블룸버그는 가스 부족에 직면한 유럽 유틸리티 업체들이 겨울에 대비해 비축해둔 가스까지 사용해야 할 처지에 내몰린다면 몇 달 안에 정부가 가스 배급을 통제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파리정치대학의 티에리 브로스 교수는 "최근 단행된 러시아의 추가 공급 감축 조치로 유럽연합(EU)의 가스 재고 비축에 비상이 걸렸을 뿐만 아니라 EU의 취약한 단결도 도전을 받고 있다"면서 "가스 공급이 완전히 끊길 때까지 이런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cwhy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