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에 본격 확산…네이버·라인·야놀자 등 도입
'풀 리모트' 근무 업스테이지 등 스타트업서도 활발
![](https://img.wowtv.co.kr/YH/2022-06-26/AKR20220624147700017_01_i.jpg)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30대 회사원 A씨는 경기도 용인의 한 정보기술(IT) 스타트업 직원이다. 그런데 A씨는 매일 용인 사무실로 출근하는 대신 부산 해운대 바다가 보이는 리조트에서 노트북을 열고 일을 시작한다.
휴가 중에 예상치 못하게 잠깐 일을 붙잡게 된 것이 아니다. 이미 A씨가 이곳에서 일한 지는 몇 달이 넘었다.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병행하는 '워케이션'(Workation) 중이기 때문이다.
26일 IT업계에 따르면 워케이션은 산과 해변 등 국내외 휴가지에서 머물면서 일과 시간에는 업무를 하다가, 퇴근 후와 주말에는 휴식을 즐기는 식으로 장기 체류와 관광을 혼합한 형태의 근무 방식이다.
워케이션은 2015년 미국과 유럽에서 처음 시작됐다. 화상회의와 협업 툴 등 기술의 발달로 원격근무 기반이 조성되면서 근로자에게 일할 장소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한 기업이 속속 나타났다.
2017년 7월 일본항공(JAL)이 워케이션을 시행한 뒤에는 국내에도 IT기업을 중심으로 하나둘 이 방식을 도입하는 회사들이 늘어났다.
워케이션은 특히 2020년 이후 국내에서 확산세를 가속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재택근무가 익숙해지며 근로자는 물론 기업도 이를 효과적인 업무수행 방식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6/24/AKR20220624147700017_02_i.jpg)
한국관광공사는 2020∼2021년 구글·네이버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보고서에서 "2020년 워케이션의 소셜네트워크 버즈량(언급량)은 전년 대비 200% 늘었다"며 지속적인 트렌드의 성장을 예측했다.
또 여가 플랫폼 기업 여기어때가 올해 4월 자사 앱 이용자 350명에게 워케이션 관련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90.9%는 이를 경험해보고 싶다고 답했다.
이미 워케이션을 도입한 IT 기업들은 참여자들의 호응을 얻어 점차 적용 범위를 늘려나가고 있다.
![](http://img.yna.co.kr/photo/cms/2022/06/22/85/PCM20220622000085017_P2.jpg)
네이버 관계사 라인플러스는 지난해 7월부터 사실상의 워케이션인 '라인 하이브리드 워크 1.0'을 도입했다. 직원을 국내의 원하는 장소에서 원격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인플러스는 이달 말까지 1년간 시행한 이 제도에 임직원이 순조롭게 적응했다고 보고, 다음 달부터는 한국과의 시차가 4시간 이내인 해외(일본, 대만, 사이판, 호주 등)에서도 일을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숙박 플랫폼 기업인 야놀자는 지난해 10월 일주일간 임직원들을 강원도 평창에서 머물도록 지원하는 워케이션 기간을 도입했다. 올해 5월에는 강원 동해와 전남 여수에서 2주간의 워케이션 프로그램을 추가 진행하는 등 이 제도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국내 대표적 IT기업인 네이버도 다음 달부터 일부 직원을 대상으로 워케이션을 시행한다. 신청 직원 중 매주 10명을 추첨해 강원 춘천과 일본 도쿄의 자사 건물에서 최대 4박 5일간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6/24/AKR20220624147700017_03_i.jpg)
스타트업들은 일찌감치 워케이션을 도입해 직원들의 일과 휴식을 함께 지원하고 있다.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는 2020년 10월 창업 이래 100% 원격근무인 '풀 리모트'(Full-Remote)'를 골자로 한 근무제를 운용하고 있다. 풀 리모트는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시간에 가장 편한 방식으로 모든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워케이션 기간을 따로 정할 필요 없이 원하는 장소로 떠나 일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업스테이지는 강조했다.
실제로 이 회사의 김성훈 대표를 비롯한 임직원들은 수도권은 물론 부산과 울산, 제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근무 중이다. 90여명의 임직원 중 약 10%는 미국(본토·하와이), 일본, 홍콩 등에서 일하고 있다.
업스테이지의 한 개발자는 "개발을 하는 입장에서는 자유롭게 일하다 영감이 나왔을 때 집중 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한데, 내가 원하는 곳에서 일하다 보니 업무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http://img.yna.co.kr/photo/cms/2022/05/23/83/PCM20220523000083990_P2.jpg)
세금신고·환급 도움 서비스 '삼쩜삼'을 운영하는 택스테크 스타트업 자비스앤빌런즈는 이번 달부터 전 직원이 순차적으로 워케이션에 돌입했다.
종합소득세 정기 신고 기간인 5월에 격무에 시달린 직원들이 6∼8월 중 한 달을 골라 자유롭게 워케이션을 떠날 수 있게 했다. 지난해 이 제도를 처음 도입했을 때는 6월 한 달 중에 3주만 허용했다가 기간을 늘린 것이다.
다만 워케이션은 회사와 근로자 양측이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도입하면 업무 효율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IT업계 관계자는 "기업은 근로자의 근태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고, 직원 간 대면 소통이 줄어들며 위기 상황 시 대응이 늦어질 수도 있다"면서 "단번에 시행하기보다는 시스템과 규칙을 만들어나가면서 적응하는 것이 기업과 직원 서로를 위해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http://img.yna.co.kr/photo/cms/2022/04/25/27/PCM20220425000027990_P2.jpg)
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