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옐런, 한국 경제의 중추적 역할 얘기…러 문제 韓과 계속 논의"
![](https://img.wowtv.co.kr/YH/2022-07-21/AKR20220721007400071_01_i.jpg)
(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 = 미국 국무부는 20일(현지시간) 북한 노동자의 우크라이나 재건 참여 가능성을 시사한 러시아 측 주장을 일축하고,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결정 권한은 우크라이나 정부에 있다고 밝혔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 재건에 북한 노동자 참여 가능성을 주장한 것에 대한 질문에 "그것은 확실히 우크라이나 주권에 대한 모욕"이라고 반박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는 우크라이나 땅"이라며 "누가 거기에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 그곳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결정은 다른 어떤 정부도 아닌 우크라이나 정부가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앞서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북 러시아 대사는 지난 18일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과 돈바스의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및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 간 협력 가능성은 상당히 폭넓다며 "양질의 북한 건설 노동자는 (돈바스의) 파괴된 기간시설과 산업 시설을 복구하는 과제 해결에서 아주 중요한 지원군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의 언급은 돈바스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모든 권리 행사는 우크라이나 정부에 있다는 미국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마체고라 대사의 발언이 알려지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에릭 펜턴-보크 조정관은 북한 노동자들이 돈바스에서 일하는 것은 유엔 대북제재에 반하는 행위라고 반박한 바 있다.
유엔 안보리는 2017년 12월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자 해외에 있는 북한 노동자들을 모두 북한으로 돌려보내도록 규정한 제재 결의 2397호를 채택했다.
따라서 북한 노동자의 해외 근무는 대북제재 위반이라는 게 펜턴-보크 조정관의 논리인 것이다.
북한은 최근 DPR와 LPR를 공식 인정했고, 우크라이나는 이에 항의해 대북 단교를 선언했다.
한편 프라이스 대변인은 최근 방한한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압박할 추가 대북제재가 더 있다고 말한 구체적인 내용이 뭐냐는 질문에 직답을 피한 채 "옐런 장관은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회담했고 우리의 노력에 대해 폭넓게 얘기했다. 우선 그는 한미 간 긴밀한 동맹에 관해 얘기했다"고 답했다.
그는 옐런 장관이 한미 간 동맹과 우정에 대해 논의했다며 "한국 경제가 전 세계에서 수행하는 중추적인 역할에 대해 얘기했다"고 말했다.
또 "옐런 장관은 러시아에 책임을 묻기 위한 공동 노력을 얘기했고, 두 장관은 러시아의 원유 수익 박탈을 위한 가격상한 문제 등을 논의했다"고 언급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그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진로를 바꾸지 않을 경우 우리가 함께 취해왔고, 잠재적으로 테이블 위에 올려져 있는 더 광범위한 조치들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린 주요 20개국(G20) 회의를 비롯한 다양한 국제 행사에서 한국과 논의할 기회를 계속해서 가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honeyb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