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 교수 분석…"모든 정치인과 체제 매수할 정도의 돈"
"카르텔의 공급 제한으로 수익 뻥튀기…기후변화 대응 지연"
![](https://img.wowtv.co.kr/YH/2022-07-22/PEP20220315028301009_P2.jpg)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지난 50년간 전세계 석유·가스 업계가 매일 3조7천억원에 달하는 순수익을 올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벨기에 앤트워프대학교의 아빌 페르브뤼헌 에너지·환경경제학 교수가 세계은행(WB)이 산출한 석유·가스 지대(rent)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세계 산유국과 화석연료 업계는 1970∼2020년 총 52조달러(약 6경8천281조원)를 번 것으로 나타났다.
지대란 토지나 가스전 등 공급이 한정된 자원을 소유한 덕분에 생산비용보다 훨씬 많은 초과 이익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업계는 연간 평균 1조달러(약 1천313조원), 하루 평균 28억달러(약 3조6천750억원)를 남긴 셈이다.
페르브뤼헌 교수는 "엄청나게 큰돈"이라며 "이 돈으로 모든 정치인과 모든 체제를 매수할 수 있고 이런 일이 이미 벌어졌다고 생각한다. 돈은 기업활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정치적 개입으로부터 보호해준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런 수익이 천연자원을 착취해서 얻은 불로소득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그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도 전 세계 부의 1%를 얻었다"고 지적했다.
막대한 수익은 러시아나 석유수출국기구(OPEC) 카르텔 등 산유국이 공급을 의도적으로 제한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도 주장했다.
만약 공급을 통제하지 않으면 일반적인 석유 가격이 현재의 배럴당 100달러에서 20∼30달러로 낮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또 석유·가스업계가 엄청난 이윤을 남긴 탓에 기후위기 대응이 늦어지고 있다며 "모든 국가에서 사람들은 가스와 전기, 기름값을 내는 것만으로도 힘겨워 재생에너지에 투자할 돈이 남아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전세계 화석연료 부문의 총수익을 장기간에 걸쳐 산출한 첫 연구로 보인다고 가디언은 짚었다.
연구 결과를 검토한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업계가 수익의 더 많은 부분을 저탄소 에너지 전환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폴 에킨스 교수는 "지난 50년간 기업들은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화석연료를 생산하면서 엄청난 돈을 벌었다. 이는 이미 전 세계에 막대한 고통을 가져다줬고 우리 문명의 미래에도 중대한 위협이 된다"고 말했다.
kit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