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은행 1.04∼1.40%p…인터넷은행 2%p이상, 토스뱅크 5.6%p '최대'
19개 은행 중 가계 예대금리차 최대는 전북은행 6.33%p
기업대출 포함 예대금리차 1위는 NH농협, 1.36%p
![](https://img.wowtv.co.kr/YH/2022-08-22/PYH202204081069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오주현 기자 = 은행의 지나친 '이자 장사'를 막자는 취지로 22일부터 은행별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공개된 가운데, 5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신한은행의 가계 대출·예금 금리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단 산술적으로 그만큼 대출과 예금의 금리 격차에 따른 마진이 많다는 뜻이다.
아울러 전통은행보다 중·저신용자에 높은 금리로 많이 대출해준 인터넷은행의 예대금리차가 뚜렷하게 커 최대 5%포인트(p)에 이르렀다.
이날 오전 11시 게시된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의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7월 현재 신한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계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는 1.62%포인트(p)로 집계됐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8/22/AKR20220822071151002_01_i.jpg)
이어 우리은행(1.40%포인트), NH농협은행(1.40%포인트), KB국민은행(1.38%포인트), 하나은행(1.04%포인트) 순으로 가계 예대금리차가 컸다.
상대적으로 중·저신용자에 대한 중·고금리 대출 비중이 큰 인터넷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는 2%포인트 이상으로, 전통은행을 웃돌았다.
케이뱅크가 2.46%포인트, 카카오뱅크[323410]가 2.33%포인트 수준이었고, 토스뱅크는 무려 5.60%포인트를 기록했다.
5%대 가계 예대금리차에 대해 토스뱅크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38%로 은행 중 가장 크고 2% 금리의 수시입출금 통장이 주력 상품인데 이런 요구불예금 금리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방은행, 외국계은행을 포함해 오늘 공시에 참여한 19개 은행 가운데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전북은행(6.33%p)이었고, 최소 은행은 BNK부산은행(0.82%p)였다.
기업대출까지 포함한 전체 은행의 예대금리차(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를 보면, 5대 은행 가운데 NH농협은행이 1.36%포인트로 가장 컸다.
우리은행(1.29%포인트), KB국민은행(1.18%포인트), 신한은행(1.14%포인트), 하나은행(1.10%포인트)이 뒤를 이었다.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2/08/22/GYH2022082200130004400_P2.jpg)
![](http://img.yna.co.kr/photo/cms/2017/08/20/02/C0A8CA3D0000015DFEB841DD0007CEE9_P2.jpeg)
이번 금리 정보 공시 체계 개편에 따라, 은행별 예대금리차 뿐 아니라 대출금리도 더 세부적으로, 자세히 공개됐다.
지금까지 '은행 자체 신용등급(5단계)'이었던 각 은행의 대출금리 공시 기준이 이날부터 '신용평가사(CB) 신용점수'(50점 단위 9단계)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융소비자는 금융플랫폼 등에서 신용평가사 기준 자신의 신용점수를 파악하면, 여러 은행이 해당 신용점수대 대출자에게 적용하는 금리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게 됐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의 '대출금리비교' 메뉴에서 상세구분 항목을 '대출금리 및 예대금리차'로 설정하고 검색하면, 각 은행의 대출금리가 신용점수 구간별로 제시된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다만 소비자가 실제로 대출을 받는 경우 은행 자체 신용등급에 따라 거래조건이 결정되는만큼, 금리·한도 등 상세 내용은 해당 은행에 문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shk999@yna.co.kr, viva5@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