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인터뷰…"중장기적 차원에서 단계적 지분 매각 필요"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차민지 기자 =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국내 최대 국적선사인 HMM[011200] 민영화와 관련해 "(지분 매각 규모가 큰 만큼) 매수자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는 충분히 나올 수 있다"면서도 "공공이 해운 사업을 계속해서 가져갈 수 없다는 것은 확실한 만큼 유연하게 민영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지난 19일 서울 마포구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서 한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중장기적 차원의 단계적 매각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다음은 조 장관과의 일문일답.
![](https://img.wowtv.co.kr/YH/2022-08-23/AKR20220822103000003_01_i.jpg)
-- HMM에 대한 중장기 민영화 방침을 선언했는데.
▲ 민간이 자유롭고 글로벌하게 사업을 영위해야 하는 만큼 공공이 해운 사업을 계속해서 가져갈 수 없다는 것은 확실하다.
현재 산업은행·한국해양진흥공사·신용보증기금 등 공공부문이 보유한 HMM 지분이 약 46%에 달하고 2025년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가 주식으로 전환될 경우 그 비율은 74%를 넘는다.
경영권 민간이양 여건 조성과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중장기적 차원에서 단계적 지분 매각이 필요하다고 본다. 자본시장 상황·해운 시황·시장 충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유연하게 추진해나가겠다.
-- 매수자 찾기부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데.
▲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우려다. 민간이 경영권 확보를 위해 33~34%의 주식을 매입한다고 가정하면 현재 주가 기준 약 8조~9조원의 인수금액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국제 해운사로 키운 회사를 외국 자본이나 사모펀드에 매각할 수는 없다.
다만 현재 유동성도 많이 풀려 있는 상태이고 한진해운 파산 사태나 글로벌 공급망 대란을 겪으면서 화주나 국민들 사이에서 해운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생겼다. 그런 만큼 한번 인수해보겠다는 회사가 나오지 않겠느냐는 생각이다.
-- HMM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책으로는 무엇이 있나.
▲ HMM은 해운 시황 불확실성 극복과 성장동력 유지를 위해 '중장기 경쟁력 제고 전략'을 마련한 상태다. 2026년까지 총 15조원을 투자해 120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규모의 경쟁력 있는 선대와 주요 항만 터미널을 확보하고 육상물류 기업과의 협업 사업을 발굴해 해운업 중심의 물류 기능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친환경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저탄소 연료(LNG)를 거쳐 무탄소 연료(메탄올 등) 추진선으로 선대도 전환해 나갈 예정이다.
![](http://img.yna.co.kr/photo/cms/2021/12/21/24/PCM20211221000024003_P2.jpg)
-- 일본이 내년에 약 130만t 규모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결정했다. 해수부에서 방사능 검사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런 사후적인 대책 외에도 좀 더 강력한 사전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는데.
▲ 우선 방사능 검사 확대 등은 해양 방류를 가정한 대비책이다. 그간 정부는 다양한 다자·양자회의를 통해 일본에 오염수 해양 방출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 또 해양 방출 이외의 다른 대안을 모색할 것을 지속해서 요구해왔다.
국제해양법재판소 제소 문제는 외교 등의 문제로 범정부 태스크포스(TF)가 담당하고 있으며 해수부는 범정부 TF에 국제해양법재판소 제소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입장을 전달하고 있다. 범정부 TF에서도 여러 실익을 따져보고 있는 것으로 안다.
-- 국제해사기구(IMO) 총회 등을 통해 해수부가 일본을 더 압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데.
▲ IMO의 런던협약·의정서 당사국총회에 해수부가 참가해 목소리를 냈다. 다만 공식 의제화를 거쳐 일본을 강제하는 수준까지는 나가지 못한 상황이다.
-- 북한에서 피살된 해수부 공무원 이대준씨에 대한 장례 지원 절차는 어디까지 진행됐나.
▲ 유가족들은 2주기를 맞는 오는 9월 22일 목포에서 해수부장으로 장례를 치르고 싶어 한다. 유가족과 협의해 부 차원에서 장례를 지원할 예정이다.
해수부장 진행 여부는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내부 심의회를 개최해 이달 중 확정할 계획이다. 기본적으로 우리 직원이 근무 중에 숨진 만큼 가장 잘 예우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는 게 해수부의 입장이다.
-- 유가족들이 순직 신청 절차도 밟고 있는데.
▲ 서해어업관리단에서 지난 2일 공무원연금공단에 순직 인정을 위한 신청서를 제출했고 현재 공무원연금공단에서 관련 서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후 인사혁신처 공무원재해보상심의회에서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된다.
공무원연금공단과 공무원재해보상심의회의 사실 확인 절차 진행 등을 최대한 지원해 고인과 유가족의 명예 회복을 돕겠다.
-- 7월 소비자 물가는 6.3% 뛰었지만 수산물 물가는 3.5% 올라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앞으로의 물가 안정 대책은.
▲ 최소한 체감물가만큼은 작년 수준으로 맞추자는 입장이다. 무조건 낮추자는 것은 아니고 예비비를 넣어서 할인행사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명태, 고등어, 갈치 등 비축물량도 12일부터 1만8천t까지 방출하고 있다. 그간 원물 행사가 중심이었다면 이번에는 가공품 비중을 확대해 반응이 좋다.
-- 앞으로 중점을 둘 해수부 정책은.
▲ 수산업은 자원 관리형으로 가야 한다. 지금까지 어항에 관심을 뒀다면 이제는 어촌과 어촌주민에 관심을 두겠다. 신활력 증진 사업·주민 정주여건 개선 등에 신경을 쓸 것이다.
해운업은 운송뿐 아니라 자산으로서 선박을 통해 용선도 하고 자본 수익도 창출할 수 있도록 선주사 육성에 나설 계획이다. 민간 선박 투자가 활성화되도록 하겠다.
또 이제는 해양 바이오 사업을 육성해야 할 때다. 소재 개발과 전처리 시설 지원 등에 관심을 두고 나설 계획이다.
cha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