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틱톡, 논란 게시물에 꼬리표…페이스북도 수백명 투입
![](https://img.wowtv.co.kr/YH/2022-08-23/AKR20220823001400071_01_i.jpg)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미국의 대형 소셜미디어(SNS) 기업들이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허위정보 대응에 부심하고 있다.
정당과 후보들이 앞다퉈 SNS 선거전에 열을 올리는 와중에 사실과 다른 주장이나 거짓 정보가 이들 플랫폼을 통해 유통되거나 넘쳐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메타(옛 페이스북), 트위터, 틱톡은 최근 중간선거와 관련한 콘텐츠를 관리하겠다는 입장을 잇달아 발표했다.
젊은 유권자층을 공략하기 위해 자주 활용되는 틱톡의 경우 유료 정치 광고를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또 중간선거와 관련된 콘텐츠는 논란을 일으키는 내용이 아니더라도 모두 선거와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는 꼬리표를 붙이기로 했다.
트위터도 선거 결과에 대한 허위 정보를 포함해 사실을 오도하는 내용이나 주장을 담은 게시물에 꼬리표를 붙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페이스북도 2020년 대선 때 트위터와 비슷한 방식을 택했지만, 올해 중간선거 때는 일정한 변화를 줄 것이라는 신호를 보낸 상태다.
이는 콘텐츠에 꼬리표를 붙여놨더니 이용자들의 피드백 형태로 오히려 이 콘텐츠가 전략적 방식으로 악용된 전례를 개선하겠다는 문제의식에서다.
페이스북은 중간선거에 초점을 맞춰 수백 명의 인력을 40개가 넘는 팀에 배치했다.
SNS 공룡 기업의 이런 움직임은 2020년 대선 때 허위 정보 유포의 플랫폼으로 이용됐다는 비판을 의식한 것이다.
이들 기업은 당시 각종 허위 정보가 넘쳐남에도 가짜 뉴스와 정보를 제대로 제어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패배에 불복한 뒤 부정선거의 결과라는 주장을 여과 없이 SNS를 통해 언급하고, 이것이 결국 2021년 1·6 의사당 폭동 사태로까지 이어진 데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까지 있다.
당시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게시물에 허위정보가 포함됐다는 경고 꼬리표를 누차 달았음에도 개선 기미가 없자 트럼프 전 대통령을 해당 플랫폼에서 퇴출하는 극약 처방을 내리기도 했다.
트위터는 1·6 의사당 폭동을 계기로 트럼프 계정을 영구 정지시켰고, 페이스북은 내년 1월까지 계정을 정지하기로 한 상태다.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21일(현지시간) 중간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이 선거를 앞두고 온라인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이번 선거는 허위 정보에 대응하려는 SNS 플랫폼의 계획에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