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회 한일포럼 공동성명 "역사문제 심리적 갈등이 합리적 사고 막아"
![](https://img.wowtv.co.kr/YH/2022-08-26/PYH2022082609800007300_P2.jpg)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한일 관계 전문가들은 한일 정상회담을 조속히 실시하고 양국 정상의 셔틀 외교를 재개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일본 국제교류센터가 24∼26일 도쿄에서 개최한 '제30회 한일포럼' 의장인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과 오코노기 마사오 일본 게이오대 명예교수는 26일 참가자를 대표해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한일 양국 정상이 "국민을 설득하고 (한일 관계의) 돌파구를 열기 위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며 이같이 제언했다.
이들은 "아시아에서 가장 선진적으로 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를 실현한 한국과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많은 이익과 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라는 점을 실천을 통해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한일 양국 신정권이 직면한 과제는 강제 징용 문제에 대한 시급한 대응과 2015년 위안부 합의의 존중"이라며 "양국의 어려움을 돌파할 수 있는 열쇠는 정치적 리더의 결단에 있고 전략적 대화를 통한 신뢰 회복에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일 양국의 많은 국민들이 서로 협력할 마음을 갖지 못한 것은 "역사 문제 등을 중심으로 한 심리적 갈등이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라며 "미래지향적인 한일 협력을 기점으로 거기서부터 과거사 문제를 되돌아보는 발상의 전환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2/08/26/PYH2022082609990007300_P2.jpg)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해양 방출 문제나 일본 수산물 수입 규제 등 갈등 사안에 관해서는 "과학적인 데이터를 반영한 대처가 중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공동성명에는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으며 양국이 경제안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도 담겼다.
유 전 장관과 오코노기 명예교수는 일본 정부가 2019년 7월 시행한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강화가 이미 "형해화"(形骸化) 됐다며 이를 재검토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지"라고 참가자들의 의견을 전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진전 등 안보 환경 급변과 관련해 포럼 참가자들은 "한일 양국은 규범에 기반한 국제 질서를 지키기 위한 협력을 추진해야 할 입장에 놓여 있다"고 규정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2/08/26/PYH2022082610010007300_P2.jpg)
이들은 한일 양국이 "북한 비핵화라는 공통 목표를 추구하는 한편 조속히 한일 간 전략대화 채널을 재개하고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의 정상적인 운용을 통해 한미일 안보협력을 진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일포럼은 1993년 김영삼 당시 대통령과 호소카와 모리히로 당시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시작된 양국 전문가 대화 채널이다.
코로나19의 여파로 3년 만에 대면으로 열린 올해 행사에는 양국 정치·경제·언론·학술 분야 주요 인사 50여 명이 참석했다.
sewon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