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생산·소비·투자 석 달 만에 '트리플 감소'…"경기 개선·회복 흐름 주춤"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김다혜 박원희 기자 = 7월 생산과 소비, 투자가 일제히 줄어 석 달 만에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특히 소비는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5개월 연속 감소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117.9(2015년=100)로 전월보다 0.3% 줄었다.
소비 감소는 올해 3월(-0.7%), 4월(-0.3%), 5월(-0.1%), 6월(-1.0%)에 이어 다섯 달째 이어졌다.
소비가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소매 판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5년 이후 처음이다.
2월 보합에 앞서 1월에는 2.0% 감소였던 것을 고려하면, 실제 소비 부진은 넉달보다 더 길게 이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다만 통계청은 서비스 소비를 고려한 전체 소비는 개선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재화 43%, 서비스 56% 정도 된다"며 "소매판매가 소비 전체 데이터를 대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물건 소비를 나타내는 지표다.
품목별로 보면 화장품과 음식료품, 서적·문구 등 비내구재 소비가 1.1% 줄었고, 가전제품과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 소비가 0.8% 감소했다.
준내구재는 의복, 오락·취미·경기용품을 중심으로 1.9% 늘었다.
전자제품은 코로나19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으나 신규·교체 수요가 줄었고, 음식료품은 방역 조치 해제로 외식이 늘면서 가정 내 수요가 줄었다.
어 심의관은 "물가 상승에 따라 소비 심리가 다소 위축된 측면도 있고 재화 소비에서 서비스 소비로 옮겨간 것도 있다"고 말했다.
화장품은 중국 봉쇄 조치 여파로 중국 내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면세점에서의 판매가 줄었다.
7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9(2015년=100)로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4월(-0.9%) 감소했다가 5월(0.7%), 6월(0.8%) 두 달 연속 증가를 기록했으나, 7월에는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반도체(-3.4%) 경기가 위축되며 제조업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이 1.3% 줄어든 영향이다.
자동차 생산은 1.1% 늘었으나 기계장비(3.4%), 기타운송장비(-6.6%) 등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반도체 재고가 쌓이면서 제조업 재고/출하 비율(재고율)도 125.5%로 전월보다 1.3%포인트 올랐다. 이는 2020년 5월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통계청은 중국의 반도체 수요가 주춤한 가운데 스마트폰 등 전방산업 수요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음식점(4.4%) 등이 호조를 보이면서 0.3% 증가했다.
도소매(0.8%), 예술·스포츠·여가(7.3%), 운수·창고(0.8%), 보건·사회복지(0.3%) 등도 호조를 보였다.
반면 부동산(-5.4%), 금융·보험(-0.5%), 정보통신(-0.4%) 등에서는 생산이 줄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 투자가 모두 줄면서 전월보다 3.2% 감소했다. 건설기성도 토목 공사 실적 감소로 2.5% 뒷걸음쳤다.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줄어든 것은 올해 4월 이후 3개월 만이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8로 전월보다 0.5포인트(p) 올랐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4로 0.3포인트(p) 하락했다.
세계적 통화 긴축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금융 지표들이 부진했던 영향이 컸다.
어운선 심의관은 "광공업 생산이 조정받으면서 전체 생산이 감소 전환했고, 소매판매 등 내수 지표들도 감소하면서 경기 개선 또는 회복 흐름이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경기 둔화 여부에 대해서는 "경기 회복 흐름은 유지되고 있다고 본다"며 "(향후 흐름은)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상존하므로 불확실성이 커서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mskwa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