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더스인덱스 분석…"외국계 사모펀드 보유지분 커 경영권 분쟁 우려"
![](https://img.wowtv.co.kr/YH/2022-09-12/AKR20220908153500003_01_i.jpg)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국내 사모펀드와 비교해 외국계 사모펀드가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국내 대기업의 수가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계 사모펀드의 투자액은 국내 사모펀드 투자액의 9배에 달했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의 상반기 보고서를 토대로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사모펀드 투자사들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사모펀드가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곳은 73곳에 달했다. 이중 외국계 사모펀드가 53곳, 국내 사모펀드가 20곳이다.
외국계 사모펀드가 보유한 상장사의 지분가치는 이달 6일 종가기준으로 38조4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 사모펀드가 보유한 상장사 지분가치(4조3천554억원)의 8.7배 수준이다.
외국계 사모펀드가 보유 중인 교보생명, 현대카드 등 비상장사들의 지분가치까지 합치면 지분가치 차이는 더 벌어진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9/08/AKR20220908153500003_02_i.jpg)
외국계 사모펀드 가운데 500대 기업의 지분을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은 블랙록이었다.
블랙록은 삼성전자(5.03%), 삼성SDI(5.24%), 호텔신라(5.09%), 포스코홀딩스(5.02%), 네이버(5.05%), 신한지주(5.67%), KB금융(6.02%), 하나금융지주(6.19%) 등 8개 기업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분가치는 총 25조2천773억원에 이른다.
텐센트는 투자 자회사를 통해 넷마블(17.52%), 크래프톤(13.53%), 카카오(5.96%) 등 3개 기업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분가치는 4조3천74억원이었다.
리더스인덱스는 "해외 사모펀드는 시장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돼 법적 규제를 거의 받지 않는 반면 국내 사모펀드는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에 따라 여러 규제를 받는다"며 "교보생명과 어피니티 컨소시엄의 갈등 사례에서 보듯이 외국계 사모펀드의 수익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경영권 분쟁을 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외국계 사모펀드가 2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대기업은 현대커머셜과 교보생명으로 어피니티가 각각 25%, 2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현대로템의 지분 24.8%를 보유하고 있다.
kih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