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전술 첫 언급하며 거리 좁히기…동북아 안보에 영향"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 북한이 미국과 관계 개선을 내팽개치는 대신 전략적으로 중국, 러시아와 유대 강화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남캘리포니아대 미중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인 마이크 치노이는 12일(현지시간)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에 기고한 '김정은은 푸틴, 시진핑의 새로운 베스트 프렌드'라는 글에서 이런 평가를 담았다.
치노이 연구원은 미중 갈등 심화, 미러 관계 악화와 맞물려 중국과 러시아가 서로 결속을 강화하려는 흐름 속에 북한 역시 이들 두 나라와 밀착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는 점에 주목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1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보낸 축전에서 두 나라 사이의 전략 전술과 지지 연대를 언급했다.
리영길 북한 국방상은 지난달 1일 중국 인민해방군 창건 95주년을 기념하면서 보낸 축전에선 "전략·전술적 협동작전을 긴밀히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중국, 러시아와 안보 관계를 거론하면서 '전술과 전략'이란 문구를 사용한 것은 처음이라는 게 치노이 연구원의 분석이다.
우크라이나전을 치르는 러시아가 북한에서 로켓과 포탄 등을 사려 한다는 미 정보당국발 뉴스에 대해서도 동북아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북·중·러의 군사적 유대 강화를 암시한다는 게 치노이의 시각이다.
과거 북한은 접경 국가인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한 수단으로 미국과 관계 개선을 추구했다.
핵 프로그램을 폐기하는 대가로 미국과 외교적·경제적 유대를 강화하려 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로, 김 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두 차례 정상회담을 한 것은 그 정점에 해당한다.
치노이 연구원은 김 위원장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브로맨스'가 사라진 이후 김 위원장은 미국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는 전문가 견해를 소개하기도 했다.
더욱이 김 위원장은 최근 절대로 핵을 포기하지 않겠다면서 한국을 겨냥한 선제공격 가능성까지 내비치는 등 대남·대미 강경 기조를 한층 강화하는 양상이다.
반면 북한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유엔 결의안에 반대한 5개국 중 하나이자, 시리아와 함께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친러 분리주의자들이 선포한 공화국을 공식 인정한 나라이기도 하다.
북한은 대중 관계에서도 대만을 방문한 낸시 펠로시 미 하원 의장을 맹비난하며 중국의 대응을 전폭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힐 정도로 노골적으로 중국편을 들고 있다.
대신 러시아와 중국은 미국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문제 삼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부과를 추진하는 데 반대표를 던지며 북한을 엄호하고 있다.
치노이 연구원은 최근 제기된 북한의 대러 무기 수출 가능성을 넘어 비행장이나 항구 접근 허용 등 지정학적 지형 변화에 따라 과거에는 상상하기 힘든 일까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통들의 견해를 전하기도 했다.
또 중국과 러시아가 아시아·태평양에서 합동 군사훈련을 강화하는 가운데 북한 역시 군사 훈련이나 더 광범위한 전략적 협력에 참여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북한 입장에서 이러한 협력 강화는 식량과 연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등 시급히 필요로 하는 혜택을 얻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치노이 연구원은 미국이 아시아 동맹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중러가 북한을 전략적 자산으로 포함하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라며 "이는 새로운 '악의 축'은 아닐지 모르지만, 휘발성이 높은 지역에서 관측되는 우려스러운 흐름"이라고 진단했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