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한화그룹이 2조 원에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것이라고 한다. 대우조선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은 26일 한화그룹이 2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49.3%와 경영권을 확보한다는 내용의 조건부 투자합의서를 대우조선해양과 체결했다고 밝혔다. 2001년 산업은행 관리에 들어간 지 21년 만이다. 그동안 대우조선에 들어간 국민 세금만 12조 원에 달하는데 대우조선의 부채비율은 676%에 달할 정도로 만성적자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최근 10년간 누적 순손실이 7조7천억 원이라고 한다. 조선업 불황 탓이라고 하지만, 주인 없는 기업의 방만 경영이 자초한 측면도 적지 않을 것이다.
국민 세금으로 운영돼온 대우조선은 헐값 수주와 방만 경영으로 한국 조선업의 경쟁력을 약화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정권이 내리 꽃은 경영진은 당장의 실적을 위해 헐값 수주를 했고, 이로 인한 손실은 분식회계로 감추다가 적발되기도 했다. 심지어 회사가 적자인 상황에서도 수천억 원대의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가 하면 전세기를 동원한 호화판 해외여행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표현이 이보다 정확하게 맞아떨어지기도 힘들 것이다. 지난 7월 하청 노조의 파업 역시 다단계 하청구조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려다가 빚어진 것이었다. 산업은행 자금, 엄밀히는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면서 해외 수주전에서 출혈 경쟁을 벌여 다른 조선사들에 끼친 피해는 고스란히 한국 조선업의 피해가 됐다. 이런 비정상을 그대로 방기하기는 어렵다.
한화그룹은 지난 2008년에도 대우조선을 인수하려 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면서 자금조달에 실패해 인수를 중도 포기한 전력이 있다. 당시 가격은 6조 원이었는데 이번에 3분의 1 가격으로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한 비판 여론도 높다. 헐값에 인수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번 투자 합의는 경쟁 입찰을 통해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한 투자자가 나오면 인수 대상자가 바뀔 수 있는 조건부다. 여기에 노조의 반발 가능성도 남아 있다. 과거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을 인수하려고 했을 때 노조는 EU 본부에 찾아가 합병 불허를 요청하는 등 매각 작업을 반대한 전력이 있다. 이번에도 그럴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하지만 매각 대금만 부각돼 이번 인수작업이 무산된다면 대우조선뿐 아니라 한국 조선업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한화 그룹 외에 다른 대기업이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한다. 방위산업에 강점을 지닌 한화는 대우조선 인수를 통해 잠수함 등 군용 특수선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다. 다행히 최근 조선업 불황이 끝나고 신규 선박 수주도 늘고 있다고 한다. 이번 인수 합병을 통해 한화와 대우조선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토대는 마련돼 있는 셈이다. 새 살을 돋우기 위한 구조조정은 필요할 것이다. 그렇다고 무리한 인원 감축으로 노사가 전면전을 벌이는 사태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서로 자신의 몫을 조금씩 양보하면서 회사의 정상화를 이뤄내길 기대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