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10개 중 1개 가정 식량수급 불안정…비만율 OECD 2위
학교 무료급식 확대, 패스트푸드·설탕 함유 음료 마케팅 제한
![](https://img.wowtv.co.kr/YH/2022-09-28/PEP20220927070801009_P2.jpg)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 "2030년까지 기아 종식"
제3세계의 이야기가 아니다. 최강대국 미국이 내세운 목표다.
백악관은 27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기아, 영양, 건강 국가 전략'을 발표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28일 비만 억제 및 기아 종식을 위한 식량 안보 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본격적인 캠페인에 나설 방침이다.
백악관 차원에서 식량안보 회의에 나서는 것은 1969년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 이후 처음이다.
2021년 발표 기준 15세 이상 미국인 가운데 73%가 비만에 해당하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 가운데 멕시코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역설적이게도 이와 동시에 10개 중 1개꼴로 미국 가정의 식량 수급이 불안정한 상태라고 백악관은 지적했다.
저소득층일수록 값싸지만 건강하지 않은 음식을 섭취할 수밖에 없고 이는 비만을 비롯해 당뇨병 등 각종 질환으로 연결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공급망 문제에 우크라이나 전쟁 등까지 겹친 심각한 인플레이션으로 팬데믹 이후 식량 등 필수품 가격 폭등이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치달은 상황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백악관 회의는 미국인들이 치솟는 식량 가격과 팬데믹의 영향과 싸우는 와중 열리는 것"이라며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 같은 요인이 미국의 비만을 악화시켰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고 보도했다.
구체적 대책으로는 학교 무료 급식을 900만명의 학생에게 추가로 확대하고, 식료품점 및 시장과 거리가 먼 대략 4천만 가구를 위해 이동 수단을 제공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영양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패스트푸드·설탕 함유 음료 등에 대한 마케팅도 제한할 계획이다. 영양 성분 표시도 강화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메모에서 "식량 불안정 및 식습관과 연관된 질병에 따른 인과 관계는 매우 심각하며, 역사적으로 빈곤층에 불균등한 영향을 미쳤다"며 "그럼에도 국가 차원에서 보건에 우선순위를 둔다면, 전반적으로 예방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역대 정권에서도 영양 문제 등에 관심을 제기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의 경우 영부인 미셸 여사가 어린이 비만 개선을 위해 학교 급식 개선 및 체육 수업 강화 등을 시도한 바 있지만 보수 진영의 비판에 직면했다.
kyungh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