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카이스트 연구팀 "새 치료법 개발에 활용 기대"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박준빈 교수·박찬순 전임의,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김인준 교수 공동 연구팀은 특정 유전자의 결핍이 '폐동맥 고혈압' 발병 위험을 높이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0일 밝혔다.
![](https://img.wowtv.co.kr/YH/2022-10-20/AKR20221020106200017_01_i.jpg)
폐동맥 고혈압은 폐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의 압력이 높아져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으로, 돌연사를 부르는 여러 원인 중 하나다. 그러나 아직 폐동맥 고혈압의 위험 요인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혈관 내피세포에서 발현돼 혈관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Sox17' 유전자에 주목했다. 이 유전자가 결핍되면 폐동맥 고혈압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게 연구팀의 추론이었다.
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생쥐를 대상으로 혈관내피세포에서 Sox17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결핍시켜 정상 상태의 대조군과 비교 관찰했다.
이 결과 Sox17 유전자가 결핍된 생쥐에서는 'c-MET'라는 수용체와 결합해 암의 생성 및 악화에 관여하는 간세포성장인자(HGF)가 대조군보다 더 많이 발현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로 볼 때 HGF와 c-MET 수용체의 결합이 암뿐만 아니라 폐동맥 고혈압의 발병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10/20/AKR20221020106200017_02_i.jpg)
박찬순 전임의는 "암의 예후와 관련된 HGF/c-MET 경로가 폐동맥 고혈압과도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 경로를 약물 표적으로 활용한다면 난치성 질환인 폐동맥 고혈압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혈관질환 분야 국제학술지 '혈액순환 연구'(Circulation Research) 최신호에 발표됐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