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3기] 美언론 "中, 세계질서 급변에 강경대응 예고"(종합)

입력 2022-10-23 18:04   수정 2022-10-23 18:29

[시진핑 3기] 美언론 "中, 세계질서 급변에 강경대응 예고"(종합)
"마오쩌둥 시절 이후 볼 수 없던 수준으로 1인 영구통치 '권력집중'"
후진타오 전 주석 중도 퇴장 모습, 가장 극적인 장면으로 꼽기도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미국 등 서방 언론은 23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번 20차 공산당 전국 대표대회에서 급변하는 세계 질서에 신속하고 강경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시 주석이 '전략적인 성장 기회', '평화와 발전' 등 중국의 전임 지도자들이 5년 주기 당 대회에서 으레 중시하던 키워드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NYT는 시 주석이 당 업무보고에서 "위험한 폭풍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면서, 이는 시 주석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의 세계 정세를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진단했다.
시 주석은 대만을 지원하고 나선 미국, 기술 병목현상에 대한 중국의 취약성, 아시아에서 존재감을 확대해가는 서방 주도 동맹의 군사력 등을 중국에 대한 위협 요소로 보고 있으며, 여기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의사를 표명했다는 것이다.
중국의 한 외교 전문가는 NYT에 "중국의 외부 환경은 전례 없이 위험해졌다고 할 수 있다. (당 대회를 보면) 지도부도 그렇게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 중국 정세분석가 출신의 크리스토퍼 K. 존슨 중국전략그룹 대표도 NYT에 "중국이 세계 질서를 바라보는 방식에 매우 중대한 변화가 나타난 것일 수 있다"며 "시 주석은 국제적 갈등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NYT는 시 주석이 미국이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직접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자국의 관료들에게 강경 대응 의중은 충분히 전달했다고도 지적했다.
실제로 마자오쉬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당대회 관련 기자회견에서 "중국 외교의 특징은 과감한 투쟁이다", "패권을 장악한 위압적 국가에 맞서겠다"는 등의 발언으로 미국에 밀리지 않겠다는 뜻을 드러냈다고 NYT는 전했다.
NYT는 또한 시 주석이 이번 당대회 기간 군 현대화 목표 달성 의지와 함께, 아직까진 비교적 제한돼있는 핵 무력까지 증강하려는 의도를 내비쳤으며, 대만과의 갈등에 대해서도 필요시 무력 투입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공식화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인민대 충양금융연구원의 왕원 행정학장은 NYT에 "(상투적 키워드를 제외한) 시 주석의 발언에는 중국이 조금 더 민첩해져야 한다는 신호가 담겼다"며 "그저 앉아서 수동적으로 '전략적 기회'만 누려서는 안 되고, 적극적으로 기회를 찾아내 사로잡아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신들은 시 주석이 이번 당대회를 통해 사실상 종신 권력을 거머쥐었다는 점도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워싱턴포스트(WP) 등은 "1인 통치체제 복귀를 막고자 고안됐던 중국의 후계 규범이 뒤집혔다"고 총평했다.
WP는 특히 "중국 공산당, 시진핑에 권력 휘두를 영구 통치 선사" 제하의 기사에서 "시 주석이 마오쩌둥(毛澤東) 시절 이후 볼 수 없던 수준으로 권력을 집중시켰다"고 전했다.

최고지도부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최측근으로만 구성한 데 대해 WSJ는 "시 주석이 얼마나 많은 권력을 누리게 될지, 또한 그 권력을 어떻게 활용하게 될지 단서를 제공해준다"고 꼬집었다.
WSJ은 특히 한 주 동안 이어진 이번 당 대회 가운데 전날인 22일 폐막식에서 노쇠한 후진타오(79) 전 중국 국가주석이 중도 퇴장하던 모습을 가장 극적인 장면이라고 꼽기도 했다.
당시 후진타오 전 주석의 중도 퇴장에 대해 관영 신화통신은 트위터를 통해 "폐막식 도중 몸이 좋지 않았다"며 "건강이 좋지 않았음에도 폐막식 참석을 고집했었다"고 전한 바 있다.
공산당의 고급 간부 양성 기관 중국공산당 중앙당교의 차이샤 전 교수는 당대회에 대해 "아무런 규칙도 제한선도 없다. 모든 규정은 깨졌다. 이전에는 저항이 남아 있었지만, 이번에 그의 업무보고에서도 볼 수 있었듯 앞으로 중국의 미래는 전적으로 그의 의지에 따라 좌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