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병 주범 대사증후군, 간접흡연 노출 탓 크다"

입력 2022-10-25 06:13  

"성인병 주범 대사증후군, 간접흡연 노출 탓 크다"
강북삼성병원, 7만여명 추적…"간접흡연 신규 노출 땐 대사증후군 위험 35% 상승"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간접흡연에 지속해서 노출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19%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순환기내과 김병진·최효인 교수 연구팀은 2011∼2016년 건강검진 당시 비흡연자이면서 대사증후군이 없었던 7만1천55명을 대상으로 평균 33개월을 추적 관찰한 결과, 간접흡연 노출과 대사증후군 발생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5일 밝혔다.


각종 성인병의 주범으로 꼽히는 대사증후군은 허리둘레(남자 90㎝, 여자 85㎝ 이상), 공복혈당(100㎎/dL 이상), 혈압(수축기 130/이완기 85㎜Hg 이상), 중성지방(150㎎/dL 이상), 고밀도 콜레스테롤(남자 40㎎/dL, 여자 50㎎/dL 미만)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3개 이상일 때를 말한다.
연구팀은 분석 대상자를 간접흡연 노출 정도의 변화에 따라 비노출군, 신규 노출군, 과거 노출군, 지속 노출군으로 나눠 대사 증후군 발생률 차이를 비교했다.
이 결과 지속적인 간접흡연 노출군은 비노출군보다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19%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다가 새롭게 간접흡연에 노출된 그룹은 비노출군에 견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35%나 더 증가했다.
반면 간접흡연 노출에서 벗어난 사람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간접흡연 비노출군과 동일한 수준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하루 중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시간, 일주일 중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빈도, 간접흡연에 노출된 총 기간 등과 비례적인 관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최효인 교수는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다가 새롭게 노출돼도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되도록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게 좋겠지만, 흡연자들도 가족이나 주변 사람에게 간접흡연의 폐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영양, 대사 및 심혈관 질환'(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최근호에 발표됐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