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선 대표, 질병청장 주식 보유 논란에 "일면식도 없어"
![](https://img.wowtv.co.kr/YH/2022-10-27/PCM20191201000034008_P2.jpg)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신테카바이오[226330]는 27일 AI 신약 클라우드 플랫폼 'STB 클라우드'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플랫폼은 신테카바이오의 AI 합성신약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딥매처'와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개인 맞춤 정밀의료 플랫폼 'NGS-ARS'를 클라우드에서 제공한다.
별도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없이도 목표 물질을 정하면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신테카바이오에 따르면 STB 클라우드는 기존 신약 개발 과정을 표준화하고 단순화, 자동화해 쉽고 편리하게 원클릭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STB 클라우드를 통해 딥매처를 이용하면 신약 유효물질 도출 결과를 3주 안에 받아볼 수 있다.
3천 대 규모 자체 AI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신약 유효물질 발굴 성공률과 최적화 예측률을 높인 딥매처를 탑재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신테카바이오는 향후 신생항원 예측 플랫폼 '네오 에이알에스', 다중변이 바이오마커 예측 및 발굴 플랫폼 '피지엠 에이알에스' 등 자체 AI 플랫폼을 STB 클라우드에 도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TB 클라우드 글로벌 서비스도 다음 달 공개될 예정이며 미국 현지법인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라고 회사는 덧붙였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10/27/AKR20221027056551017_01_i.jpg)
정종선 신테카바이오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관련 업계 1위인 미국 슈뢰딩거가 제공하는 AI 신약개발 서비스의 20~30% 가격으로 서비스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방법론에서는 효율이 5배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테카바이오는 딥매처 성능 검증 시험에서 1억2천만 개 화합물에 검증된 100개 유효물질을 무작위로 섞은 후 후보를 도출한 결과 후보군 20개 중 9개가 실제 유효물질로 나왔다며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고 자평했다.
정 대표는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 우수한 약물 후보 물질 74개를 도출했다"며 신약개발 후보물질 발굴에도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앞으로 신약 개발, 정밀의료, 바이오마커 발굴까지 자사 플랫폼을 국내외에 클라우드 방식으로 도입할 것"이라며 "AI 신약 개발 및 정밀의료 산업의 퍼스트무버로 입지를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 대표는 최근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취임 후에도 자사 주식을 보유해 논란이 된 것과 관련해 "저도 뉴스를 보고 깜짝 놀랐다"며 "백 청장과 단 한 번도 일면식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4~5년 전 신테카바이오가 당시 질병관리본부와 사업단 소속 세부 과제 같은 것은 했다"며 "백 청장이 안 계실 때니 상관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