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GDP·실적 주시하며 혼조세로 출발

입력 2022-10-27 23:19  

뉴욕증시, GDP·실적 주시하며 혼조세로 출발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가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주요 기술 기업들의 실적을 주시하며 혼조세로 출발했다.
27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 9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76.50포인트(1.18%) 오른 32,215.61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59포인트(0.12%) 상승한 3,835.19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76.18포인트(0.69%) 떨어진 10,894.81을 나타냈다.
전날 급반등했던 나스닥지수가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의 주가 하락에 하락세로 전환됐고, 나머지 지수는 GDP 지표 개선에 강세를 보였다.
개장 전 발표된 미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대비 연율 2.6%로 잠정 집계됐다. 앞선 두 개 분기 동안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성장률이 플러스로 전환됐다.
미국의 1분기와 2분기 GDP 성장률은 각각 -1.6%, -0.6%를 기록해 기술적 침체를 나타낸 바 있다.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2.3%를 웃돈다.
다른 지표들은 다소 실망스러웠다.
9월 내구재 수주 실적은 전월보다 0.4% 늘어난 2천747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 기록한 0.2% 증가를 웃도는 수준이지만, 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0.7% 증가를 밑도는 수준이다.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3천 명 증가한 21만7천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2만 명에 살짝 못 미치는 수준이다. 변동성이 덜한 4주 이동평균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21만9천 명으로 직전주보다 6천750명 증가했다.
과열된 노동시장이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진정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기술 기업들의 실적은 예상치를 밑돌면서 주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페이스북 모기업인 메타는 전날 장 마감 후 예상치를 밑도는 3분기 순이익을 발표했다. 매출은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4분기 전망치도 그리 밝지 않아 투자 심리를 악화시켰다. 메타의 주가는 이 시각 20% 이상 하락했다.
허니웰의 주가는 회사가 연간 순익 전망치를 상향했다는 소식에 4% 이상 올랐다.
캐터필러의 주가는 분기 매출이 수요 강세와 가격 인상으로 크게 늘었다는 소식에 8% 이상 상승했다.
사우스웨스트항공의 주가는 분기 순이익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3% 이상 올랐고, 맥도날드의 주가도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아 3% 이상 올랐다.
이날은 장 마감 후 인텔과 아마존, 애플, 티모바일 등이 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투자자들은 다음 주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회의를 대기하고 있다.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해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유럽중앙은행(ECB)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해 2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았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실적 부진은 경제가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인베스코의 세바스찬 맥케이 멀티에셋 펀드 매니저는 WSJ에 "일부 기술기업들의 실적이 매우 실망스러웠다"라며 "실적이 줄어듦과 동시에 역사적으로 경제를 예견하는 지표로 여겨진 광고의 부진은 경제가 둔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중단할 정도로 경제가 충분히 빠르게 둔화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라면서도 "전 세계적으로 연준의 긴축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작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실물경제에 뒤늦게 영향을 미치고, 연준이 이를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 약간 우려스럽다"라고 말했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독일 DAX지수는 0.28% 하락했고, 영국 FTSE지수는 0.07% 올랐다. 프랑스 CAC 지수는 0.24% 하락했고, 범유럽지수인 STOXX600 지수는 0.35% 하락 중이다.
국제유가는 또다시 상승했다.
12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14% 오른 배럴당 88.91달러에, 12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전장보다 0.93% 상승한 배럴당 96.58달러를 나타냈다.


ys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