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침체 점차 본격화…"수출, 내년 상반기까지 감소"
고금리·고물가에 소비·고용 악화 예고…이태원 참사 영향도
"내년부터 한국도 영향권…경기 둔화·침체 우려"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차지연 곽민서 박원희 기자 = 한국 경제에도 겨울이 닥쳐오고 있다.
주력 엔진인 수출이 추동력을 잃은 가운데 우리 힘으로 통제 불가능한 고금리·고물가 여파로 내수에도 비상등이 켜지는 국면이다.
주요국 경기 침체 영향이 내년부터는 한국에도 전달되면서 상당한 경기 둔화 또는 침체를 우려해야 하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 '주력엔진' 수출 이미 적색등…"내년 상반기까지 마이너스"
6일 경제계에 따르면 올해 겨울을 시작으로 내년에 이르기까지 한국 경제가 전후좌우로 악재에 둘러싸이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은 한국 경제의 주력 엔진 수출이다.
10월 수출은 524억8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5.7% 감소했다. 2020년 10월에 전년 대비 3.9% 감소한 이후 2년 만에 보는 마이너스다.
당분간 개선의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10월 수출 통계가 발표된 직후 "글로벌 경기 하강과 중국 봉쇄 등 대외여건 악화로 전세계 교역이 둔화하면서 정보기술(IT) 비중이 큰 우리 수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당분간 증가세 반전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책 여지까지 담아 가급적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노력하는 정부가 보기에도 수출은 당분간 회복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연구실장은 "수출은 이제 마이너스로 돌아서 침체가 본격화되는 것 같다"면서 "한국 경제 측면으로 보면 가장 심각한 것은 수출"이라고 지목했다.
주 실장은 "세계 경제 자체가 내려가니 한국 수출이 안 좋은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면서 "내년 상반기까지는 전년동기 대비 마이너스 상황이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 고물가·고금리에 고용도 둔화…내수도 점차 악화
올해 들어 수출이 둔화하는 상황에서 한국 경제를 떠받치던 내수 엔진 역시 점차 비상등이 들어오는 국면이다.
고물가와 고금리 등 내수를 둘러싼 환경이 내년에도 딱히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점이 큰 악재다.
물가는 올해 7월 6.3%로 정점을 찍었을 가능성이 흘러나오고 있으나 그렇다고 시원하게 내려가는 분위기도 아니다. 가파른 고유가 상황이 다소간 진정됐다고 하나 여전히 가격이 높은 수준이고 개인 서비스 등 근원적인 물가의 오름세가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내년 1분기까지는 5%대 고물가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물가 상승세는 한국은행 입장에선 기준금리의 추가적인 인상을 의미한다. 국내 물가도 문제지만 '최종금리를 기존 예상보다 높이겠다'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스탠스 역시 한국 입장에선 추가적인 금리 인상 요인이 된다.
한미 금리차는 곧 외국 자본 유출 및 원/달러 환율 상승을 의미하는 만큼 일정 선에서 보조를 맞추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내년에는 고용 여건 역시 취약해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고물가로 실질 구매력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이자 부담이 커지고 고용 여건마저 악화하는 국면에서 내수 소비가 버텨주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다.
수출 엔진이 사라진 상황에서 내수마저 부진하면 경제는 성장의 동력을 잃게 된다.
◇ 이태원 참사 여파도 촉각…"내년 둔화·침체 가능성 우려"
156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태원 참사 역시 경제 측면에서 소비 심리 악화 요인으로 연결되지 않을지 우려하는 시각이 상당하다. 사회 전반에 깔린 우울감이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것이다.
일례로 세월호 참사가 발생했던 2014년 4월 소매판매액(소비) 증가율(전년대비)은 0.7%로 한 달 전인 3월의 2.2% 대비 큰 폭으로 둔화했다.
5월과 6월, 7월 소매판매액 증가율도 각각 1.4%, 1.4%, 1.2%로 2014년 연간 증가율인 2.1%를 크게 밑돌았다.
증권과 보험, 신용카드·캐피탈 등 2금융권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자금 조달 시장 여건 악화도 언제든 위기의 도화선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부동산 시장에 나타나는 경착륙 조짐 역시 변수가 될 수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정규철 경제전망실장은 "현 상황에서 경제 전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결국 미국의 금리 인상"이라면서 "수출 측면에서 악재가 큰 가운데 금융시장의 위험이 확산할 경우 경기 전체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올해 겨울부터 유럽을 시작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고 우리나라도 내년에는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본다"면서 "경기 침체나 둔화의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spee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