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YH/2022-11-10/PCM20200712000008051_P2.jpg)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 정부가 조선·반도체 등 국내 산업 전반에 쓰이는 탄산(CO2)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공급량 확대와 중소기업의 공동 구매를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한국가스안전공사 서울본부에서 화학·정유·발전업계 및 탄산 제조 관련 업종별 협회·단체와 간담회를 열고 이러한 방침을 발표했다.
탄산은 조선 업종에서는 용접에, 반도체 공정에서는 세정용 특수가스로, 식품산업은 음료 첨가물로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산업용 가스다.
탄산의 원료는 석유화학·정유업계 등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다. 이 때문에 석유화학·정유 기업들의 정기 보수와 공장 가동률에 따라 탄산 생산량의 변동 폭이 크다는 지적이 그간 이어져 왔다.
특히 최근 조선사들의 선박 수주량이 늘면서 용접용 탄산의 수요가 증가하고, 신선식품 택배 사업 확대로 드라이아이스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에 정부는 탄산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석유화학·정유·발전사 등 탄산 공급사의 다음해 정기 보수 일정을 매년 상·하반기에 탄산 수요업체들과 공유하고, 필요시에는 일정을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탄산 원료·제조 관련 공정 증설 사업을 집중 발굴해 규제 등 애로 해소를 지원하고, 국내 탄산 생산량이 부족할 경우 수입 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도록 한다.
구매력이 약한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중소기업중앙회의 원부자재 공동구매 보증지원 사업 등을 활용해 탄산을 공동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산업부는 한국석유화학협회를 탄산 수급 전담기관으로 지정하고 함께 정기적인 탄산 수급 현황 점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 탄산 공급사의 보수 일정과 여름철 드라이아이스 수요를 고려해 내년 5∼9월을 '탄산수급 대책기간'으로 정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석유화학협회 등 탄산 공급·수요업계를 대표하는 4개 단체와 함께 '탄산 얼라이언스'를 발족했다.
he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