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대부분 지역 경기전망지수 2014년 조사 이래 최저치"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침체한 주택사업 경기가 단기간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주택산업연구원은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 500여 곳을 대상으로 주택건설 사업의 체감경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달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지난달(47.8)보다 7.3포인트(p) 하락한 40.5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수치가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서울(56.2→48.9)은 지난달보다 7.3p 떨어졌고, 인천(45.1→32.3)과 경기(42.2→29.7)도 각각 12.8p와 12.5p 하락하면서 수도권은 이달 37.0으로 지난달(47.8)보다 10p 넘게 내렸다.
지방도 경남이 56.2에서 36.8로 19.4p 급락했고, 세종도 42.1에서 23.5로 18.6p 떨어졌다. 광주(43.4→28.5), 제주(55.0→41.1), 충북(46.6→35.2), 전북(50.0→38.8) 등 한 달 새 10p 넘게 떨어진 곳이 속출하면서 지방은 47.2에서 38.4로 8.8p 하락했다.
연구원은 "대부분 지역이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2014년 1월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구(39.3→45.4)와 울산(35.2→38.0)은 전국적인 지수 하락 속에서도 소폭 상승했는데, 이는 규제지역 지정 해제에 따른 주택사업경기 회복 기대감이 반영된 수치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한편 건설원가 상승과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주택건설 수주지수와 자금조달지수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주택건설 수주지수(재개발·재건축·공공택지·민간택지)는 모든 분야에서 지난달보다 하락했다. 특히 민간택지는 81.5에서 56.3으로 25.2p 급락했다.
자금조달지수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통한 기대수익이 감소하고 위험은 커지면서 40.2에서 37.3으로 하락했다.
연구원은 "미국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주택경기 침체는 단기간 개선되기 어려울 전망"이라며 "부동산 관련 규제 완화 정책과 함께 공적 금융지원·보증지원을 확대하는 등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chi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