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금융지주 소속 핀테크랩 참석…투자유치 연계·지원 역할
![](https://img.wowtv.co.kr/YH/2022-11-15/AKR20221115034400002_01_i.jpg)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금융위원회는 15일 서울 마포 프론트원에서 권대영 상임위원 주재로 금융지주사가 설립한 핀테크랩(핀테크 육성기관) 및 소속 핀테크 기업을 상대로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KB(KB 이노베이션 허브 센터), 신한(신한퓨처스랩), NH농협(NH디지털챌린지+), 우리(디노랩), DGB(FIUM 랩) 등 금융지주사가 설립한 핀테크랩 관계자와 핀테크랩에 속한 기업 8개사 대표가 참석했다.
이들 금융지주사 핀테크랩은 핀테크 스타트업(새싹기업)에 사무공간 제공을 비롯해 멘토링, 창업자금 투자 등 다양한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데모데이 개최로 홍보와 투자 유치를 지원하고, 금융지주 소속 벤처캐피털(VC)이나 지주 계열사가 참여하는 펀드 등을 통해 자금 공급을 연계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금융위에 따르면 금융지주 소속 핀테크랩들은 2015년 최초 설립 이후 최근까지 800여개 스타트업·핀테크에 총 9천700억원의 투자 유치를 연계·지원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핀테크랩 소속 기업들은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위해서는 관련 금융업법상 일정 부분 특례가 필요할 수 있다며 향후 금융규제 샌드박스(규제특례) 적용 등을 통한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고 금융위는 전했다.
금융위는 "기업이 규제 특례를 위해 샌드박스를 신청하는 경우 전담 책임자 지정 및 컨설팅 등을 통해 밀착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핀테크에 아이디어의 사업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데이터 인프라를 제공하는 'D-테스트베드' 사업도 상시화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권대영 상임위원은 이날 간담회에서 "글로벌 경기둔화 등으로 핀테크 스타트업 도 신규 투자유치 등에 애로가 예상되는 만큼 핀테크랩이 더욱 적극적으로 인큐베이터 및 투자 연계기관으로서 역할을 강화해달라"라고 말했다.
p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