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사우디 첫 주택협력포럼…원희룡 "네옴시티 함께 구상하자"
사우디 주택부장관 방한…모듈러·디지털 건설 기술발표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우리나라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주택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첫 플랫폼을 만들었다.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 방한 이후 양국에서 동시에 협력 강화를 위한 위원회와 포럼을 띄우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오후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제1회 한-사우디 주택 협력포럼'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 포럼은 지난 6일 사우디 도시농촌주택부를 방문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제안한 것으로, 마제드 알 호가일 사우디 주택부 장관이 받아들여 성사됐다.
지난 28일 방한한 알 호가일 장관과 원 장관을 비롯해 기업과 전문가 등 200여명이 포럼에 참석했다.
사우디는 국립주택공사가 추진하는 주요 프로젝트를 발표했고, 국토부는 분당·판교 등 지난 30년간 신도시 개발 경험을 소개했다.
권혁진 국토부 주택도시실장은 "새로운 도시를 만드는 데 이들 외에 더 어떤 것이 필요하겠느냐"며 토지주택공사(LH)·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 공기업과 민간기업들의 역할을 내세웠다.
기업들도 기술 발표에 나섰다.
포스코건설은 모듈러 건설 기술과 사례를, 현대건설[000720]은 건설 자동화와 디지털 건설 기술을 발표했다.
네이버는 스마트 빌딩 관련된 디지털 기술과 로봇·인공지능(AI)·5G·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접목된 네이버 신사옥 1784를 소개했다.
KT[030200]는 통합도시운영솔루션과 스마트시티 사업을 발표했고, 직방은 모바일 모델하우스와 스마트홈을 시연했다.
네옴시티에도 활용되는 모듈러 주택과 스마트시티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방한을 계기로 한국 기업과 사우디 간 MOU가 체결돼 관심이 높은 분야다.
원희룡 장관은 "이번 포럼을 주택협력뿐 아니라 네옴시티 같은 미래 스마트시티 구상을 함께해나가는 확장된 협력 플랫폼으로 정례화하자"고 제안했다.
알 호가일 장관도 "2차 포럼은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개최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빈 살만 왕세자와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합의한 인프라, 도시건설, 주택건설 분야 협력에 대해 지속적으로 후속 조치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화답했다.

두 장관은 기존의 주택협력 MOU를 주택·스마트시티로 확장해 다시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의 회담 이후 한국과 사우디 양국에서 후속 조치가 가시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원 장관은 포럼 이후 기자회견에서 "빈 살만 왕세자 방한을 계기로 '한국-사우디 비전 2030 위원회'와 '한-사우디 전략협력 협의체'가 경제부총리 중심으로 다시 구성되고 있다"며 "이번 포럼 역시 다양한 형태로 채워 군단처럼 움직이는 방향을 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다음 달 중에는 범정부 차원의 해외건설 수주지원단을 구성하고 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의 정책 펀드를 통한 수주 금융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사우디에서도 관련 위원회가 구성됐다.
알 호가일 장관은 "사우디 내에 위원회를 꾸려 어떻게 하면 한국 기업들이 사업 참여와 관련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을지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한국 기업들이 사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