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현대중공업그룹은 6일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서울대와 공동으로 인공지능(AI) 분야 산학연 포럼인 '현대중공업그룹 AI포럼'(HAIF)을 개최했다.
포럼은 지난 9월 개설된 서울대 대학원 '스마트 오션 모빌리티' 과정 프로그램의 하나로, 정기선 HD현대[267250] 사장이 직접 기획했다고 현대중공업그룹은 전했다.
자율운항&AI·스마트야드&AI·데이터&AI 3개 세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정기선 사장, 최해천 서울대 연구부총장, 국내외 산학연 AI 전문가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자율운항&AI 세션에서는 현대중공업그룹의 자율운항선박 AI 솔루션과 미래상 등을 공유하고, 현대자동차[005380]의 자율주행기술 개발 현황과 계획 등 타 산업 분야와의 융합 가능성도 논의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스마트 조선소 전환을 주제로 한 스마트야드&AI 세션에서는 현대중공업그룹이 2030년 완성을 목표로 추진하는 FOS(Future of Shipyard·조선소의 미래) 프로젝트의 현황과 계획, 지능형 스마트야드의 고도화 방안과 더불어 LG전자[066570]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팩토리 전개 방향 등이 소개됐다.
데이터&AI 세션에서는 디지털 전환(DX) 분야에서 현대중공업그룹과 협력하는 팔란티어를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웹서비스(AWS), 원웹(OneWeb) 등 빅데이터 선도 기업의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제조업 분야 디지털 혁신을 위한 AI 기술개발 로드맵에 대해 논의했다.
정기선 사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조선·해양 산업의 근본적 혁신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며 "현대중공업그룹의 새로운 50년에 AI가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아낌없는 지원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해천 서울대 부총장은 축사를 통해 "현대중공업그룹과의 이번 첫 AI 포럼이 앞으로 양 기관의 협력을 증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s://img.wowtv.co.kr/YH/2022-12-06/AKR20221206052400003_01_i.jpg)
pul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