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연합뉴스) 이율 특파원 = 독일 경제가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독일 총리가 퇴직연령인 67세보다 3∼4년 앞서 은퇴하는 조기 퇴직자의 비중을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https://img.wowtv.co.kr/YH/2022-12-11/PAP20221210028001009_P2.jpg)
숄츠 총리는 11일(현지시간) 독일 풍케미디어그룹과 프랑스 매체 웨스트 프랑스(Ouest France)와 인터뷰에서 "퇴직 연령인 67세까지 일하는 사람의 비중을 늘리는 게 관건"이라며 "이는 오늘날까지 여러 사람에게 힘든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동시장에 여성 비중을 늘릴 여력이 있다고 평가하면서 이를 위해 탁아소와 유치원, 학교에서 전일제 돌봄 제의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독일 연방인구문에연구소에 따르면 독일에서 퇴직 연령인 67세 이전에 퇴직하는 이들이 점점 더 늘고 있다.
이미 63세나 64세에 노동시장에서 은퇴하는 것이다. 동시에 독일 경제는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숄츠 총리는 "젊은 계층에 입직을 위한 가능성을 개선하고, 직업 교육과 훈련에 투자한다면 일부는 노동시장에 붙잡을 수 있다"면서 "이에 더해 우리의 복지를 확보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서 이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독일 시민권 획득을 쉽게 하려는 연방정부의 계획을 옹호했다.
그는 "독일로 이주한 많은 이들은 아주 오랫동안 나중에 독일을 떠날 사람들처럼 대우받아왔다"면서 "시민권 획득이 전면에 등장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미 오래전에 이민 국가가 됐고, 이제 국제표준에 맞추려는 것"이라며 "여러 국가에서는 5년 만에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는 만큼, 독일어를 하고, 스스로 생활비를 벌고,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경우, 독일에서도 그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