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9세 취업자 1년 9개월만에 줄어…취업자 증가분 77%는 60세 이상
"불확실성 커 향후 전망 지켜봐야"…한은·KDI는 내년 취업자 대폭 감소 전망
(세종=연합뉴스) 김다혜 박원희 기자 = 11월 취업자가 1년 전보다 60만명 이상 늘었지만 증가 폭은 반년째 둔화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근 2년 만에 전년 같은 달보다 줄었다.
수출 부진과 고물가·고금리로 경기 둔화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서도 고용시장이 비교적 선방하고 있으나, 전망은 밝지 않다는 평가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42만1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2만6천명 증가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1999년(121만7천명) 이후 23년 만에 최대폭 증가다.
취업자는 작년 3월부터 지난달까지 21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보다 늘었으나, 증가 폭은 지난 5월(93만5천명) 이후 6월(84만1천명), 7월(82만6천명), 8월(80만7천명), 9월(70만7천명), 10월(67만7천명)에 이어 11월까지 6개월째 감소했다.
특히 지난달에는 청년층 취업자가 작년 같은 달보다 5천명 줄어 작년 2월(-14만2천명) 이후 21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11월 기준으로는 2020년 전년 동월 대비 24만3천명 감소한 뒤 지난해 16만8천명 증가했다가 2년 만에 다시 감소했다.
다만 청년층 고용률은 46.1%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올랐다. 청년층 실업률은 5.7%로 0.2%포인트 올랐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청년층 취업자는 인구 감소(-21만명) 등으로 21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으나 고용률은 올랐다"며 "실업률이 높아진 것은 지난달 조사 기간에 지방직 7급 공무원 공채 시험이 있었던 영향이 있다"고 말했다.
전체 취업자 증가분 가운데 절반을 크게 웃도는 76.5%는 60세 이상(47만9천명)이었다.
50대(9만2천명), 30대(6만6천명)에서도 취업자가 늘었으나 40대에서는 6천명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23만1천명), 보건복지업(14만9천명)에서 취업자가 많이 늘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 증가 폭은 2013년 산업 분류를 개정한 이래 11월 기준으로 가장 컸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 대면 활동이 늘면서 지난 5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제조업(10만1천명)에서도 취업자가 늘었으나 전월(20만1천명)보다는 증가 폭이 둔화했다.
도소매업(-7만8천명), 금융보험업(-2만7천명) 운수·창고업(-1만2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줄었다.
취업 시간별로는 36시간 이상 취업자가 26만8천명, 36시간 미만 취업자가 31만3천명 늘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67만8천명 늘었으나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각각 8만3천명, 8만4천명 감소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2만9천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2만7천명 각각 증가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7%로 작년 같은 달보다 1.2%포인트 올랐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 이래 11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실업자 수는 66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6만8천명 줄었다.
실업률은 2.3%로 0.3%포인트 감소해 1999년 6월 실업률 기준을 바꾼 이후 11월 기준으로 가장 낮았다.
공 국장은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증가 폭이 둔화했다"며 "제조업이 괜찮은 수준이긴 하지만 둔화하고 있고 도소매업, 운수창고업도 줄면서 전체적으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리, 환율, 수출 문제 등 불확실성이 많아 (전망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국은행은 내년 취업자 수가 올해보다 각각 8만명, 9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올해 취업자 증가 폭 예상치인 79만명(KDI)과 82만명(한은)에 크게 못 미친다.
moment@yna.co.kr,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