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유가 하락에 기댄 결과…中 리오프닝 시 인플레 압력 ↑"
"내년 내 금리 인하 어렵다" 전망도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국내 증권가는 14일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최악의 고비를 넘었음을 시사하는 물가 지표에 안도하면서도 아직 불확실성이 남아있다고 판단하며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7.1% 올랐다고 밝혔다. 지난 9월까지만 해도 8%가 넘었던 CPI 상승률이 10월 7.7%로 둔화한 데 이어 11월에는 7%대 초반까지 내려온 것이다.
또 이는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7.3%)보다 낮은 수치였다.
미국 물가 상승 속도가 느려지기 시작했음을 보여준 11월 CPI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계획에 힘을 실어줄 만한 결과였으나, 국내 증권가는 남은 불확실성을 점검하는 데 보다 분주한 모습이다.
이다은 대신증권[003540] 연구원은 "11월 물가지표는 물가의 추세적인 안정을 보여주는 한편 연준의 예상과도 부합하는 흐름"이라면서도 "연준의 물가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기에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연준의 초점은 상품물가에서 주택 외 근원서비스 물가로 옮겨갔다"며 "주택 외 근원서비스의 주요 비용은 임금이기 때문에 앞으로 물가보다 고용지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12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대해선 "기존 예상대로 최종금리는 5.25%로 상향조정될 것"이라며 "내년 금리 인하 가능성은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정여경 NH투자증권[005940] 연구원은 "11월 물가지표 데이터는 유가 하락에 기댄 부분이 컸다"면서 "그러나 현 70달러 수준의 유가는 중국 리오프닝 기대가 반영되지 않은 수치여서 향후 미국의 전략비축유 저장 및 중국 리오프닝 전개로 유가가 반등한다면 인플레이션 상방 압력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류진이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11월 물가지표 결과가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조심스럽다"고 평가했다.
그는 "물가 상승률이 예상치를 하회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7%대 물가 상승률 자체는 달갑지 않다"며 "미국 경기가 연착륙에 성공해 얕고 짧은 침체를 경험한다면 역설적으로 추가 물가 하락 폭도 드라마틱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연준이 12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50bp(1bp=0.01%포인트) 인상하고 내년 2∼3월 25bp씩 인상해 최종금리 5.0%로 긴축을 마무리하더라도 내년 내 인하를 선택하기보다 그 금리 수준을 상당 시간 유지하는 쪽을 선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안영진 SK증권[001510] 연구원 역시 "내일(한국시간 15일 새벽) 발표될 미국의 12월 FOMC 결과는 기준금리 50bp 인상이 매우 유력하다"면서 "연준 내부에서 속도 조절에 대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는 건 이미 알려진 사실이고, (시장은) 앞으로 점도표에 찍힐 최종 금리 수준과 금리 인하 시점에 이목이 쏠릴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낙관론도 나왔다.
이정훈 유진투자증권[001200] 연구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박이 낮아지는 신호가 뚜렷해지고 있다"면서 "미국 경기 둔화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물가 압력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현재 7%대인 물가 상승률은 내년 1∼2분기에는 기저효과와 함께 크게 낮아질 수 있다"면서 "이번 FOMC에서도 어렵게 잡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재차 확대되는 것을 막고자 내년 금리 인하에 대해서는 기대를 차단하겠지만, 매파적인 스탠스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ykb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