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에 1년 전보다 2.1%p ↓…건설자재 업종 등 큰폭 하락
![](https://img.wowtv.co.kr/YH/2022-12-20/PCM20190401000089990_P2.jpg)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경기침체 여파로 올해 3분기 국내 대기업의 가동률이 1년 전보다 2%포인트(p) 이상 하락하며 80% 아래로 떨어졌다.
업종별로는 자동차와 제약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가동률이 하락했으며, 특히 건설자재와 조선·기계설비 업종의 가동률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20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가동률을 공시한 200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올해 3분기 평균가동률은 78.4%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80.5%)와 비교하면 2.1%p 하락한 것이다.
또 코로나 유행 첫해인 2020년 3분기(79.4%)보다도 1%p 낮은 것이다.
기업들의 설비 투자로 생산능력은 확대됐지만, 글로벌 경기침체로 생산실적은 그에 미치지 못하면서 가동률이 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가동률은 생산능력(계획) 대비 실제 생산실적의 백분율로 산출됐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12/19/AKR20221219122200003_01_i.jpg)
업종별로는 건설자재 업종의 하락 폭이 가장 컸다. 건설자재 업종 가동률은 올해 3분기 70.5%로 작년 3분기(77.9%)보다 7.4%p 하락했다. 차갑게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조선·기계설비 업종의 가동률도 7.4%p 하락했다.
이어 에너지(-6.4%p), 석유화학(-5.4%p), 유통(-3.2%p), 철강(-2.5%p), IT·전기전자(-2.2%p) 등 순이었다.
전체 14개 업종 중 가동률이 1년 전보다 상승한 곳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2.5%p), 제약(0.8%p) 뿐이었다.
기업별로는 레미콘 및 골재 제조업체인 유진기업[023410]의 가동률이 1년 새 27.4%p 급락했다. 석유화학 기업 가운데는 애경케미칼[161000]의 가동률이 22.9%p 떨어졌다.
반면 새 주인을 찾은 쌍용자동차는 가동률이 1년 전보다 60.0%p 상승했다.
매일유업[267980](23.3%p), KG ETS[151860](21.6%p), SK에너지(17.6%p), KG스틸(16.3%p) 등 16곳은 가동률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매출 상위 20대 기업 중에서는 기아[000270](12.6%p), 현대모비스[012330](4.4%p), LG에너지솔루션[373220](2.0%p)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의 가동률이 모두 감소했다.
한편 올해 3분기 생산능력이 작년 3분기보다 늘어난 곳은 93곳이었으나 이 중 실제 생산 실적이 증가한 기업은 69곳이었다. 나머지 24곳은 생산능력 확대에도 생산 실적이 감소했다.
kih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