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자 급증 속 서방 mRNA백신에 문 열지 주목
![](https://img.wowtv.co.kr/YH/2022-12-22/PYH2022031108720034000_P2.jpg)
(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협력 강화를 통해 의약품과 방역 물자를 합리적으로 수입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22일자에 따르면 전날 중국의 내각인 국무원은 리커창 총리 주재로 열린 상무회의에서 "대중의 방역과 의료 물자 수요를 확실히 보장하고 관련 기업의 전속력 생산을 지지하고, 국제협력을 강화해 급히 필요한 물품을 합리적으로 수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7일 방역 완화 조치 시행 이래 코로나19 감염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사재기까지 더해지면서 해열제와 독감 치료제 등을 포함한 의약품 수급난을 겪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화이자 코로나19 치료제인 팍스로비드의 인도산 복제약 구매 대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비정상적 유통경로를 통해 '가짜약'이 들어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국무원이 시급히 필요한 의약품 등의 수입을 언급한 것은 우선 치료제와 해열제 등의 충분한 공급을 보장하겠다는 의지 표현의 성격이 있어 보인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외국산 백신에 문호를 개방할 가능성도 주시하고 있다.
중국은 시노팜(중국의약그룹)과 시노백(科興中維) 등 자국 제약 업체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그동안 접종해왔지만, 전통적 불활성화 방식인 중국산 백신이 효과 면에서 서방 제약사의 mRNA(메신저 리보핵산) 계열 백신보다 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런 가운데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대중국 백신 지원 의향을 밝힌 데 대해 "현재 백신 강화 접종(부스터샷)이 질서 있게 추진되고 있다"며 "의약품과 검사 시약은 전반적으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규모 인원 이동이 이뤄질 춘제(春節·내달 22일) 연휴 기간을 앞두고 농촌 고령자 등에 대한 부스터샷 접종 필요성이 시급해진 상황에서 중국이 외국산 백신에 문호를 열게 될지 주목된다.
앞서 중국은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지난달 방중했을 때 중국 내 독일 등 서방 국적자에 한해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화이자 백신이 선적돼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고 슈테펜 헤베슈트라이트 독일 정부 대변인이 21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밝혔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2/12/21/PYH2022122120850034000_P2.jpg)
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