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유출자 색출 위해 사용자 계정 접근…"中·美 근무자 4명 해고"
'미 안보 위협' 논란 미해결 상태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 직원들이 사용자 계정 데이터에 부적절하게 접근한 사실이 발각돼 해고됐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 등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해고된 직원은 회사 정보 누출 건을 조사 중이던 감사부서 소속 직원 등 4명이다.
로이터통신은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이들 4명 중 2명은 중국에서, 나머지 2명은 미국에서 각각 근무했다고 전했다.
![](https://img.wowtv.co.kr/YH/2022-12-23/AKR20221223048700009_01_i.jpg)
이들은 회사 정보 누출 사건을 조사하다가 인터넷 매체 버즈피드 출신으로 현재 미국 경제 잡지 포브스에서 일하는 기자와 영국 경제 신문 파이낸셜타임스(FT) 기자의 사용자 계정 데이터에 접근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정보 유출자로 의심되는 자사 직원들과 이들 기자가 같은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려고 IP 주소를 들여다봤다.
다만 정보 유출자를 파악하는 데는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량루보 최고경영자(CEO)는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이번 사건을 보고받고 매우 실망했다며 "회사 행동 규범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바이트댄스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감사부서의 구조조정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의 여파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버즈피드의 대변인인 리지 그램스는 "틱톡 사용자뿐만 아니라 기자의 권리를 무시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은 미국에서 사용자가 크게 늘면서 중국 정부가 사용자 데이터 수집이나 추천 알고리즘 등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안보 위협으로 지목돼 왔다.
실제 미 의회는 이번 주에 연방 정부 공무원들이 정부 소유 장치에 틱톡을 다운로드해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킬 예정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미 미국의 10여 개 주에서는 비슷한 내용의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또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는 미국내 1억명 이상인 틱톡 사용자의 데이터 보호를 위해 수개월째 바이트댄스와 국가안보 협정 체결을 추진해왔으나 아직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앞서 미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2020년 바이트댄스에 틱톡을 매각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리기도 했으나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후 집행 불가능을 이유로 취소됐다.
ev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