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등한 동절기 난방요금, 아파트 대화방 등에서 이슈
![](https://img.wowtv.co.kr/YH/2023-01-24/AKR20230123035200003_02_i.jpg)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지난해 3대 에너지원(원유·가스·석탄) 가운데 가스와 석탄의 수입액이 연간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작년 가스와 석탄의 수입액은 각각 567억달러, 281억달러로 1956년 무역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액수가 가장 컸다.
가스와 석탄의 수입액은 각각 종전 최대였던 2014년(366억달러)과 2011년(183억달러)의 액수를 훌쩍 뛰어넘으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작년 우리나라의 가스 최대 수입국은 호주(153억달러)였으며 이어 미국(119억달러), 카타르(85억달러), 말레이시아(55억달러), 오만(47억달러) 등의 순이었다.
석탄 역시 호주(124억달러)가 최대 수입국이었으며 러시아(57억달러), 인도네시아(35억달러), 캐나다(26억달러), 남아프리카공화국(13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한국의 가스·석탄 최대 수입국인 호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가스 27.0%, 석탄 44.2%에 달했다.
아울러 작년 한국의 원유 수입액은 사우디아라비아(376억달러), 미국(140억달러), 쿠웨이트(107억달러), 아랍에미리트(UAE·92억달러), 이라크(85억달러) 등의 순이었다. 우리의 최대 원유 수입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입액 비중은 35.5%로 집계됐다.
지난해 원유 수입액(1천58억달러)의 경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2012년(1천83억달러) 액수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3대 에너지원의 합계액(약 1천908억달러)은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에너지 수급난이 가속한 영향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원유·가스·석탄의 수입 단가가 모두 전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며 "동절기 에너지 수급 안정을 위한 조기 확보 등 복합적인 영향으로 수입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1/23/AKR20230123035200003_01_i.jpg)
한편 설 연휴 마지막 날인 이날은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가 될 것이라고 예보된 가운데, 급등한 동절기 난방요금이 연휴 기간 주요 화제로 올랐다.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의 카카오톡 단체대화방에는 난방 요금을 포함한 관리비가 전년 대비 10만원 안팎 더 나왔다는 메시지가 쏟아졌다. 관리비 청구서를 보고 깜짝 놀랐다는 사람도 부지기수였다.
직장인 조모 씨는 "설 연휴 기간 친인척들이 모인 자리에서 난방 요금이 단연 화두였다"며 "난방비로 가정마다 난리가 난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난방비는 도시가스 요금과 열 요금으로 나뉜다.
중앙·개별난방 가구에 부과되는 도시가스 요금은 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입하는 한국가스공사[036460]가 도매 요금을 책정하고 각 시·도가 공급 비용을 고려해 소매 요금을 결정하는 구조다.
지역난방 가구에 부과되는 열요금은 집단에너지 사업자가 도시가스 요금에 연동해 조정한다. 도시가스와 열 요금은 최근 1년 동안 각각 38.4%, 37.8% 올랐다.
redfla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