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으로 결국 시장에 부메랑 돼"…보험硏 신년 간담회
![](https://img.wowtv.co.kr/YH/2023-01-31/AKR20230131107500002_03_i.jpg)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이 보험업계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져 온 '절판 마케팅' 행태를 멈춰야 한다고 업계에 쓴소리를 했다.
안 원장은 31일 열린 연구원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보험시장 리스크 관리와 건강성 회복 차원에서 보험사는 절판 마케팅을 매우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절판 마케팅은 기존 보험상품이 보장 영역 축소나 예정이율 조정을 앞두고 있거나 비과세 요건 강화 등 각종 제도 변경을 앞두고 있을 때 보험사들이 관련 상품 판매에 열을 올리는 형태로 주로 나타난다.
안 원장은 "절판 마케팅은 어떻게 보면 한국 보험시장의 역사와 더불어 이어져 온 관행인데 장기적으로 결국 시장에 부메랑으로 돌아오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절판 뒤 시장 수요는 급격히 줄어들고 리스크만 돌아올 뿐"이라며 "최근의 유동성 리스크도 결국 10년 전 절판 마케팅으로 판매했던 저축보험의 만기도래로 인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보험사들은 2013년 2월 저축성 보험의 비과세 한도 축소를 앞두고 저축성 보험 판매를 크게 늘린 바 있다. 10년이 지나 작년 말부터 해당 상품들의 만기 시점이 도래하자 현금 확보에 비상이 걸린 보험사들이 속출했다.
안 원장은 사적연금 활성화와 관련해서도 보험사들의 분발을 촉구했다.
안 원장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면서 국민의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서는 공적연금뿐만 아니라 개인연금, 퇴직연금 등 다양한 노후자산을 활용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사적연금이 그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여러 선진국의 연금개혁을 통해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적연금 활성화를 위해서는 당국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더불어 보험산업도 소비자를 위한 연금 수익률 제고, 다양한 상품개발, 적극적 마케팅 등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험업 새 회계기준(IFRS17)의 시행을 계기로 지속 가능한 가치경영이 정착하는 해가 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안 원장은 '보험시장 리스크 관리' 및 '보험산업 경쟁력 강화'를 올해 연구원의 중점 연구 방향으로 삼고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p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