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고금리 신용대출 은행권으로 대환하는 프로그램도 추진
15일 오전 주요 은행 임원 긴급 회의 결과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민선희 기자 = 연일 정부와 여론으로부터 '돈잔치' 비난을 받는 은행권이 공익성 강화 대책으로 서민금융상품 취급 규모와 저금리 갈아타기 대출의 보증 재원을 늘리기로 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15일 오전 주요 은행의 부행장급 임원들은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회의를 열고 '은행권 상생금융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은행들은 우선 서민금융상품(새희망홀씨·햇살론15·햇살론뱅크·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등) 공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
지난해 서민금융상품의 공급 규모가 약 5조4천800억원 정도이고 올해 목표가 6조4천억원인데, 앞으로 은행들은 3년간 새희망홀씨 등 서민금융상품의 지원 규모를 올해 기존 목표(6조4천억원)보다 9.3% 많은 7조원으로 증액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해 9월 출시한 소상공인 저금리 대환(갈아타기) 대출 보증 재원도 더 마련하기로 했다.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더 많은 소상공인이 이 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 3년간 은행권 보증 재원을 약 800원 추가 출연해 전체 보증 규모를 약 1조원까지 늘리기 위한 방안이다.
개인 차주(대출자) 금융부담 완화를 위한 대환 신용대출 프로그램 운영도 적극적으로 검토된다.
제2금융권의 고금리 신용대출을 은행권 대출로 바꿔주는 상품과 프로그램이 주로 추진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사회공헌 사업 관련 질문에 "은행권의 공동 모금이 썩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공동 모금은 최대한 자제할 것"이라며 "개별 금융지주나 은행의 특색에 맞게 (사회공헌 사업을) 하는 쪽이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shk999@yna.co.kr, s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